작성일 댓글 남기기

[네트워크]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액세스망 구조를 정리

본문 요약
❶ 광케이블인 경우 국사의 OLT에서 나온 광케이블은 아파트 MDF(통신실)에 있는 splitter에서 분기되어 가입자 댁내로 유입되고 댁내에는 ONT가 설치됩니다. ONT와 PC는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속도는 상하향 100 Mbps이고요. 광분배기는 32 분기이고 따라서 32 가입자가 하나의 PON 포트로 서비스됩니다.   

❷ UTP인 경우는 초기에는 L3 스위치를 아파트 MDF에 설치하고 이를 통해 아파트내 몇 개 층(예를 들어 아파트가 20층짜리면 5층, 10층, 15층에 하나씩)에 있는 L2 스위치를 연결해주는 형태였습니다. 각 세대는 L2 스위치와 UTP 케이블로 연결되며 따라서 ONT와 같은 광종단 장치는 필요 없습니다. 이 구조는 KT 국사밖에 장비가 위치하게 되어 OPEX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고 (주로 L3 스위치, 장애가 발생하면 KT 운영요원이 해당 아파트에 가서 고치고 와야 하니까), 현재는 L3 스위치 자리에 splitter (광분배기: 전기 공급이 필요없는, 고장도 안 나는 Passive 장비입니다)를, L2 스위치 자리에 ONU를 설치하고 국사에 OLT를 두는 구조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❸ 전화선인 경우는 초기에는 L3 스위치를 아파트 MDF에 설치하고 이를 통해 아파트내 몇 개 층에 있는 VDSL DSLAM를 연결해주는 형태였습니다. 각 세대는 이 DSLAM과 전화선을 통해 연결되며, 각 댁내에는 VDSL 모뎀이 설치되고 이 모뎀과 PC가 UTP 케이블을 통해 연결됩니다. 이 구조는 KT 국사밖에 장비가 위치하게 되어 OPEX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고 (주로 L3 스위치), 현재는 L3 스위치 자리에 splitter를, L2 스위치 자리에 ONU (VDSL)를 설치하고 국사에 OLT를 두는 구조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netmanias.com/ko/?m=view&id=blog&no=6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