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댓글 남기기

내가 보려고 남겨두는 지게차 필기노트

  • 지게차 계기판
    • 없는것 : 실린더 압력계, 차량속도계
    • 지게차 계기판 (대충 훓어는 보되 꼭 외워야 하는건 없는것이 중요하다)
  • 엔진오일 압력 경고등 : 엔진오일 압력이 낮을 때 표시 엔진 경고등 : 엔진의 각종 센서 및 애기추에이터가 고장 났을 때 표시 예열플러그등 : 엔진을 예열시키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15~20초에서 완전히 가열되면 정상 변속기 오일 압력 경고등 : 변속기 오일 압력이 낮을 때 표시 아워미터 : 장비의 가동시간을 표시
  • 지게차 주행시 포크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20~30cm 정도 유지
  • 지게차에 현가스프링이 없는이유 : 롤링이 생기면 적하물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 지게차 구조
  • 그림을 참고로 대략적인 위치를 알고 있으면 처음보는 문제의 답도 유추 가능하다.
  • 리프트 실린더 : 포크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
  • 플로프로텍터(벨로시티 퓨즈) 사용 목적 : 컨트롤 밸브와 리프터 실린더 사이에서 배관파손시 적재물 급강하를 방지
  • 기계에 나타나는 현상
    • 서지현상 (압력증가 현상)
      • 오일의 속도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해서 일시적 큰압력 증가가 생기는 현상
    • 캐비네이션(소음/진동발생)
      • 여과입도수가 너무 높을 때 발생(높은 압력)
    • 공동현상 : 오일필터의 여과입도가 너무 조밀할 때 발생
    • 노킹 발생시 (배기가스 온도 하락)
      • 연소실 온도상승, 출력저하, 엔진손상
    • 채터링 현상 (자력진동 현상)
      • 릴리프 밸브 등에서 밸브 시트를 때려 비교적 높은 소리를 내는 일종의 자력진동 현상
  • 밸브
    • 릴리프 밸브 (펌프와 제어밸브 사이)
      • 유입회로의 최고압력 제어밸브 = 과부하방지(일정유지)
      • 조정불량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원인
    • 시퀀스 밸브
      • 2개 이상의 분기회로에서 유압회로 압력의 작동순서제어
    • 언로더 밸브 (무부하 밸브)
      • 유량을 탱크로 리턴시켜 유압펌프를 무부하화 한다.
      • 규정압력이상으로 상승시 동력절감을 위한 밸브
    • 교축 밸브 : 유량제어 밸브
    • 체크 밸브 : 한쪽방향으로 흐름을 허용 (잔압유지)
    • 카운터 밸런스 : 유압실린더 자유낙하 방지하기 위해 배입유지
  • 유량제어 : 속도제어
  • 윤활유
    • 작용
      • 마찰감소, 마멸방지작용, 기밀작용, 열전도작용, 세척작용, 완충작용, 방청작용
    • 구비조건
      • 점도지수가 높고, 온도와 점도와의 관계까 적당할 것
      • 인화점 및 자연발화점이 높을 것
      • 강인한 유막을 형성할 것
      • 응고점이 낮고 비중과 점도가 적당할 것
      • 기포발생 및 카본생성에 대한 저항력이 클 것
  • 유압유
    • 구비조건
      • 내열성크고, 인화점 및 발화점 높을 것
      • 점성과 적절한 유동성이 있을 것
      • 점도지수 및 체적탄성계수가 클 것
      • 압축성, 밀도, 열팽창계수가 작을 것
      • 화학적 안정성(산화 안전성)이 클 것
      • 기포분리 성능(소포성)이 클 것
    • 열화 판정방법
      • 자극적인 악취유무로 확인(냄새)
      • 수분이나 침전물의 유무로 확인
      • 점도상태 및 색깔의 변화 확인
      • 흔들었을때 생기는 거품이 없어지는 양상을 확인
      • 유압유 교환을 판단하는 조건은 점도의 변화, 색깔의 변화, 수분의 함유 여부
    • 유압유 정상 온도 : 40~80 °C 정도
  • 유압기호 (무조건 1문제 출제) 자주나오는 순서로 배열해놓았으니 최대한 눈에 익혀서 맞추는 방식으로 외워보세요

  • 세탄가(디젤) : 디젤의 폭발성, 착화성
    • 옥탄가는 가솔린
  • 라디에이터(물재킷 없음) : 구성품(냉각수 주입구, 냉각핀, 코어)
  • 압력식 캡 : 기관 냉각장치에서 비등점을 높이는 기능
  • 액추에이터 (유압실린더, 모터)
    • 유압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화 (진선 / 회전운동)
  • 스트레이너
    • 유압유의 불순물제거를 위해 유압펌프 흡입관에 설치
  • 과급기 (터보차저, 블로어)
    • 흡입되는 가스에 압력을 가하는 일종의 공기펌프
    • 디퓨져(공기의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바꾸는 장치)
  • 축압기(어큐물레이터)
    • 작동유 순간공급, 맥동제거, 충격압력 흡수, 압력보상
  • 스테이터 (정류 후 직류로 변환)
    • 교류발전기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부분
  • 페이드현상 : 계속적인 브레이크 사용으로 마찰열이 축적되어 드럼이나 라이닝이 경화됨에 따라 제동력이 감
  • 베이퍼록 현상 : 브레이크액에 기포가 발생하여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형상
  • 거버너(조속기)
    • 분사펌프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관의 부하에 따라 자동적으로 연료 분사량을 가감하여 최고 회전속도를 제어
  • 리듀싱(감압) 밸브 : 주회로 압력보다 저압으로 사용하려할때 사용
  • 베인 펌프 (좋은건 다가진 조건) : 소형경량, 구조간단하며 성능우수, 맥동과 소음이 적음
  • 타이로드 앤드
    • 타이어식 건설기계에서 기계식 조향기구의 구성품
  • 센터 조인트(선회이음)
    • 상부와 하부의 유압라인을 연결하는 회전이음
    • 스위블 조인트
  • 아워미터 : 장비가동시간을 체크 표시
  • 유압장치 : 파스칼의 원리 이용
  • 오일의 관계 (∝비례관계)
    • 오일점도 ∝ 압력 ∝ 펌프효율
  • 축전지 충전방법
    • 일반충전(정전류), 충전능률 우수하나 수명단축(정전압)
    • +P(적색) 산소발생, 굵다
    • -N(흑색) 수소발생, 가늘다
  • 기관 과열원인 : 냉각장치 내부물 때, 라디에이터 막힘, 냉각 및 오일부족
  • 분사노즐시험기 점검사항 : 분사개시 압력후적을 점검

  • 특별표지 부착대상
    • 길이 16.7m 초과, 너비 2.5m 초과, 높이 4.0m 초과
    • 최소 회전반경 12m 초
    • 총중량 40톤 초과
    • 축하중 10톤 초과
  • 출장검사가 허용되는 건설기계
    • 도서지역에 있는 경우
    • 자체중량 40톤 초과 또는 축중이 10톤 초과인 경우
    • 최고시속 35km미만
  • 음주측정기준 : 0.03이상 (혈중알콜농도 기준)
  • 1종 대형 운전면허 : 덤프트럭, 노상안정기, 트럭적재식 천공기

  • 벌칙
    • 2년 2천이하 : 미등록, 등록관련 조작1년 1천이하 : 기계무단폐기**, 무면허 조종, 이행하지 않은자(정비명령, 구조변경검사, 수시검사**300만원 : 적성검사, 기피100만원 등록번호, 안전기준(교육)50만원 : 위반, 생활침해, 정기검사, 거짓신고면허효력정지 사유
      • 인명피해
        • 사망 1명당 : 면허정지 45일중상 1명당 : 면허정지 15일경상 1명당 : 면허정지 5일
        재산피해 : 50만원당 1일 (최대90일)고의 및 과실로 가스시설의 공급방해 : 면허정지 (180일)음주 조종 : 0.3~0.8알콜농도, 면허정지 (60일)
      번호판(판색+글자색)
      • 자가용 : 녹색판 + 흰글씨영업용 : 주황판 + 흰글씨관용 : 흰판 + 검은글씨임시용 : 흰페인트판 + 검은글씨
  • 감속운행속도 (도로상태에 따른)
    • 최고 속도의 20 / 100 주행
      • 비가내려 노면이 젖은경우, 눈 20mm미만 쌓인경우
    • 최고 속도의 50 / 100 주행
      • 노면 얼은경우, 눈20mm이상, 가시거리 100이내
  • 앞지르기 금지장소
    • 교차로, 도로의 구부러진곳, 비탈길의 고갯마루 부근, 가파른 비탈길의 내리막, 터널 안, 다리위 등
  • 주차 및 정차 금지장소
    • 화재경보기로부터 3m 이내의 곳
    • 교차로의 가장자리 또는 도로의 모퉁이로부터 5m 이내의 곳
    • 횡단보도로부터 10m 이내의 곳
    • 버스여객 자동차의 정류소를 표시하는 기둥이나 판 또는 선이 설치된 곳으로부터 10m 이내의 곳
  • 건설기계 신고
    • 등록신청 : 건설기계를 취득한 날부터 2개월(60일) 이내에 소유자의 주소지 또는 건설기계 사용본거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에게 하여야 한다.
    • 변경신고 : 건설기계의 소유자는 건설기계등록사항에 변경(주소 등)이 있을때 그변경이 있은 날부터 30일(상속의 경우 상속개시부터 6개월) 이내에 신고서에 서류를 첨부하여 등록을 한 시,도지사에게 제출
  • 대형 건설 기계 (아래의 기준이상인 경우)
    • 길이(16.7m), 너비(2.5m), 최소 회전반경 (12m), 높이(4m), 총중량(40톤), 축하중(10톤)
  • 화재의 분류 (무조건 1문제 출제)
    • A급 (일반 화재, 고체연료의 화재) B급 (유류 화재) C급 (전기 화재) D급 (금속 화재) K급 (주방 화재)
  • 장갑을 끼지 않는 작업
    • 드릴작업, 해머작업
  •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 링크참고 (무조건 1문제 출제)
    • 다 외우려고 하지말고 느낌상 이해를 하면 굳이 외우지 않아도 한문제 맞추고 갈수 있다.
    • 중요한건 금지, 경고, 지시, 안내와 같은 종류로 나뉜다는 걸 기억을 해둘것
    • 자주 나오는 표지만 찍어서 그림에 있는 번호를 아래에 적어놓는다.
      • 103, 108, 201, 207, 215, 301
  • 안전보호구의 일반적인 종류 (이해만해두면 좋음)
    • 안전모, 안전화
    • 안전대(안전밸트) : 높이 및 깊이 2M이상 이고 추락위험시 필수
    • 보안경
      • 일반 보안경 : 칩, 분진 발생이 많은 작업시
      • 차광용 보안경 : 자외선, 적외선, 유해광선 (용접시 사용)
      • 보안경 교환렌즈는 안전상 앞면으로 빠지도록 함.
    • 마스크
      • 방독 마스크 : 유독가스발생장소
      • 방진 마스크 : 분진(먼지) 발생장소
      • 송기 마스크(공기마스크) : 산소결핍이 우려되는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