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카이브 만들기
압축되지 않은 아카이브를 만드려면 cvf 옵션을 붙입니다. 옵션 c(create)는 새로운 아카이브를 만들라는 것이고 v(verbose)는 작업충인 파일이름을 표시해주는 옵션입니다. 그리고 f 옵션으로 아카이브할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옵션을 여러개 사용시 순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 tar cvf 아카이브이름.tar <압축할 디렉토리> cvf 옵션으로는 어떠한 압축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gzip으로 압축된 아카이브를 만드려면 z 옵션을 추가합니다. 여기서 .tar.gz은 .tgz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 tar cvfz 아카이브이름.tar.gz <압축할 디렉토리> bzip2로 압축하고자 한다면 z 옵션 대신 j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gzip과 bzip2의 차이는 gzip 보다 bzip2가 더 압축률이 좋지만 더 느린 특징이 있습니다. 여기서 .tar.bz2는 .tbz, .tb2와 같은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tar cvfj 아카이브이름.tar.bz2 <압축할 디렉토리>2. 압축해제하기
압축을 해제하는 옵션은 x(extract)입니다. 압축하기와 마찬가지로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하려면 z 옵션을 추가하고, bzip2로 압축된 파일은 j 옵션을 추가하여 작업할 수 있습니다. $ tar xvf 아카이브이름.tar $ tar xvfz 아카이브이름.tar.gz $ tar xvfj 아카이브이름.tar.bz23. 원하는 파일만 골라서 압축하기
--wildcards 옵션으로 파일이름의 패턴을 지정하여 원하는 파일만 고를 수 있는데 shell의 문법을 따르면 됩니다. 또한 *.pdf와 같은 방식으로 타입별로 골라서 압축할 수 있습니다. $ tar xvf 아카이브이름.tar --wildcards '*.pdf'4. 특정 파일을 제외하고 아카이브 만들기
--exclude 옵션으로 원하지 않는 파일을 제외할 수 있습니다. $ tar -cvf 아카이브이름.tar <압축할 디렉토리> --exclude='필요없는파일' --exclude='또는디렉토리이름' 출처: https://sisiblog.tistory.com/43?category=697623 [고슴이]
압축해제시 -C 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디렉토리에 압축해제가 가능합니다.
단, 먼저 디렉토리를 생성해주어야합니다.
ex) tar -xvfz abc.tar.gz -C /opt/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