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댓글 남기기

웹 브라우저 정보 – 출처 나무위키

웹 브라우저

최근 수정 시각: 2024-10-14 15:23:00

26편집

토론역사

분류

WWW 아이콘웹 브라우저
목록
[ 펼치기 · 접기 ]
Chrome 로고
Microsoft Edge 로...
Firefox 로고
Opera 로고
Safari 아이콘
Arc (browser) lo...
어베스트 시큐어 브라우저 로고
Norton Private B...
AVG Secure Brows...
Brave 아이콘
CCleaner Browser...
드래건 브라우저 로고
Epic Privacy Bro...
Floorp icon
Internet Explore...
SRWare Iron
K-Meleon 아이콘
Lunascape icon
LibreWolf icon
external/static....
메타 퀘스트 브라우저 아이콘
Midori icon
mullvad-browser-...
Norton Private B...
Pale Moon 로고
Osiris icon
vAnA04c
2022 Samsung Int...
Sleipnir3forMac
SlimBrowser logo

Slimjet
Tor Browser icon
Torch Browser lo...
UC Browser Logo
비발디(웹 브라우저) 아이콘
Waterfox logo
네이버 웨일 아이콘

attachment/How I...
웹 브라우저가 하는 일을 간단하게 그린 만화.

1. 개요2. 역사

2.1. 최초의 웹 브라우저2.2. 피처폰 시대의 웹 뷰어2.3. 웹과 모바일 기술의 시대, 웹 브라우저의 비대화

3. 웹 브라우저와 웹 표준4. 나무위키에 등재된 웹 브라우저

4.1. PC

4.1.1Blink 기반4.1.2Gecko 기반4.1.3WebKit 기반4.1.4트라이던트 기반4.1.5. 기타 엔진4.1.6. 멀티엔진4.1.7. 텍스트 기반

4.2. 모바일

5. 한국어를 지원하는 주요 웹 브라우저

5.1. PC5.2. 모바일

6. 역사 속으로 사라진 웹 브라우저7. 웹 브라우저의 엔진8브라우저 전쟁과 5대 브라우저9. 기타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web browser

HTML 문서와 그림, 멀티미디어 파일 등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총칭.

2. 역사[편집]

2.1. 최초의 웹 브라우저[편집]

세계 최초의 웹 브라우저는 팀 버너스리가 1990년에 NeXTSTEP용으로 Objective-C를 사용하여 개발한 WorldWideWeb이다[1]. 해당 브라우저는 나중에 Nexus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 뒤, 크로스 플랫폼으로 된 line-mode browser가 CERN에서 개발되었으며, 1993년 ‘모자이크‘라는 이름의 브라우저가 최초로 이미지를 바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넣고 월드 와이드 웹 붐을 타면서 큰 성공을 거두며 상용화에 성공하게 되었으며,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를 거쳐 파이어폭스로 계승되었다. 이후로 많은 웹 브라우저들이 탄생하고 점유율을 더 높이기 위해 치열한 전쟁을 하였고, 현재 진행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브라우저 전쟁 문서 참고.

대한민국에서는 아직도 IE가 기준으로 만들어진 홈페이지가 아직 많고, 많은 금융 기관 및 정부 공공 기관의 보안 체계가 ActiveX로 되어 있는 곳이 많아 일본을 제외한 다른 나라보다 IE의 점유율이 높다. 심지어 2023년도 신규 개발 공공사업에서도 여전히 IE 최적화를 최우선으로 요구하는 곳이 있다. 파이어폭스나 크롬을 쓰더라도 IE를 완전히 버릴 수는 없는 노릇. 그러나 그 뒤로 모바일 중심의 사용 변화, IE의 서비스 종료 예고, 액티브엑스를 탈피한 사이트의 확산, 공인인증서 폐지 등을 담은 국내법 개정 등의 영향으로 웹 브라우저의 지형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2020년 3월 말 국내 기준, IE의 시장 점유율은 8%대로 크게 떨어진 반면, 크롬의 점유율은 데스크탑 70%, 모바일 40%로 크게 약진하였다.[2]

2.2. 피처폰 시대의 웹 뷰어[편집]

세계 최초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는 1993년 Newton MessagePad에 탑재된 세계 최초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 PocketWeb인데, 이는 1994년에 ‘NetHopper’라는 상표로 상용화되었다가 후일은 iOS의 Safari로 계승되기도 했다.

이 시대에 쓰이던 웹 브라우저는 웹 뷰어 방식이라 한다. PC의 웹 브라우저는 풀 브라우징이라 하여 데이터를 기기에서 직접 수신해 기기에서 모든 과정을 처리한다. 반면 이 시절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는 웹 뷰어라 하여 데이터를 서버에서 미리 연산 후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기기가 수신하게 되는 방식이다. 연산이 기기가 아닌 서버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낮은 성능의 기기에서도 속도 저하가 없고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작아 기기의 성능이 낮고 데이터 요금제가 비싼 데다 통신망이 느렸던 피처폰 시대에 많이 쓰였던 방식이며 스마트폰시대가 되면서 잊혀진 기술이 되었다. 기기의 성능이나 OS에 관계없이 자바스크립트나 어도비 플래시의 사용도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단점으로는 비밀번호 등의 중요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일반적인 브라우저와 달리 웹 페이지 전체를 이미지 형태로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그렇다고 암호화를 하자니 서버에서 모든 연산을 처리해 기기에서의 연산을 절감한다는 개발 목적에 맞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만일 웹 브라우저 서버의 서비스가 종료된다면 이 방식의 브라우저는 먹통이 된다. 데이터가 웹 브라우저 회사의 서버에서 처리되어야 하는데 웹 브라우저 서버의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이것이 불가능해지기 때문. 일반적인 풀 브라우징 방식 브라우저가 프로그램만 깔려있으면 브라우징에 아무 문제가 없는 것과 대비된다. 지금도 이런 방식을 쓰는 브라우저가 오페라 미니 브라우저인데 저사양 기기나 통신 품질이 낮은 개발 도상국 등에서의 사용을 목적에 두고 개발된 특수 브라우저이다.

2.3. 웹과 모바일 기술의 시대, 웹 브라우저의 비대화[편집]

웹 브라우저는 원래 웹 서핑을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에 불과했다. 그러나 웹 기술이 발달하면서 웹 브라우저는 점차 기능이 확대되었고[3], 2020년대 들어서는 거의 모든 프로그램의 기능을 잡아먹고 있다. 스마트폰이 MP3 플레이어, 카메라, 지도, 손전등, 계산기 등의 기능을 잡아먹은 것처럼 말이다.

이를테면 iPhoto 같은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이 담당했던 사진 관리를 지금은 구글 포토나 플리커 등의 서비스가 대체해 나가고 있다.[4] 오피스 역시 G Suite와 같은 웹 오피스의 도전이 거세다. 아예 기존의 강자였던 MS와 Apple이 웹 오피스 버전을 내놓는 지경. 웹 브라우저의 성능과 하드웨어의 발전이 맞물려 나가면 앞으로 웹이 해 나갈 수 있는 일은 더욱 많아질 것이다. 일개 애플리케이션 주제에 가상 머신 비스무리한 길을 걸어가고 있다.[5] 이젠 아예 웹 브라우저 하나만 활용해서 컴퓨터의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한 OS까지 있다.

모바일 시대에 들어서는 이모지 등 그림 문자를 이미지로 자동 변환시키는 기능도 추가되었다.

물론 엄밀히 따지면 웹 브라우저의 기능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웹 브라우저가 아니라 웹이 발달한 덕분이긴 하다. 새로운 웹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도 구글, 모질라,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같은 웹 브라우저 개발사만이 아닌 구글, 페이스북, 넷플릭스 등 웹 서비스 회사들도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React의 경우 페이스북의 SPA 개발을 위해 만들어졌다.

웹 개발을 위한 표준 기술은 점점 강화되고 늘어나고 있는 추세지만, 오히려 과거와 달리 JScript 같은 브라우저 자체의 휘황찬란한 기능들은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확장 플러그인도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간결하게 만드는 추세이며, 웹 개발 도구의 파편화는 거의 줄어들었다. 엔진도 구글의 크롬과 모질라 파이어폭스, 애플의 사파리밖에 남지 않았다.

3. 웹 브라우저와 웹 표준[편집]

웹 브라우저는 웹 표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에는 Internet Explorer라는 브라우저가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면서도 웹 표준을 지키지 않았다. 다행히 크롬이 등장한 이후에는 대부분의 브라우저가 웹 표준을 신경 쓰고 있다.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가 웹 표준을 잘 지키는지, 즉 표준을 지키면서 개발되었다는 전제하에 웹 페이지를 개발자의 의도대로 표시할 수 있는지를 Acid 테스트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4. 나무위키에 등재된 웹 브라우저[편집]

※ 문서 추가 후 등재 바랍니다. 진하게 표시된 것은 해당 엔진의 대표작. 서비스 중단된 브라우저에는 취소선을 그어주십시오. 나머지는 가나다순으로 등재.

4.1. PC[편집]

4.1.1. Blink 기반[편집]

4.1.2. Gecko 기반[편집]

4.1.3. WebKit 기반[편집]

4.1.4. 트라이던트 기반[편집]

Windows에 있는 IE 엔진을 빌려 기능 추가 및 스킨만 바꾼다고 보면 된다.

4.1.5. 기타 엔진[편집]

4.1.6. 멀티엔진[편집]

4.1.7. 텍스트 기반[편집]

4.2. 모바일[편집]

참고로 iOSiPadOS용으로 개발된 모든 웹 브라우저는 정책상 브라우저에서 WebKit만 사용할 수 있어 크롬, 파이어폭스 등의 iOS 버전 역시 Blink나 Gecko 기반이 아닌 Webkit 기반이다[24].

5. 한국어를 지원하는 주요 웹 브라우저[편집]

5.1. PC[편집]

웹 브라우저제작사플랫폼비고
WindowsmacOSLinux
GreenBrowser log...그린브라우저GreenBrowserMorequickOXX
Norton Private B...노턴 프라이빗
브라우저
Norton Private BrowserGen DigitalOXX
드래건 브라우저 로고드래건DragonComodo GroupOXX
Lunascape icon루나스케이프LunascapeLunascape CorporationOX
LibreWolf icon리브레울프LibreWolfOOO
external/static....맥스톤MaxthonMullvadOOX
mullvad-browser-...뮬바드 브라우저Mullvad BrowserMaxthon InternationalOOO
Midori icon미도리MidoriAstianOOO
Brave 아이콘브레이브BraveBrave SoftwareOOO
비발디(웹 브라우저) 아이콘비발디VivaldiVivaldi TechnologiesOOO
사파리 브라우저 로고사파리SafariAppleOXWindows 버전 지원 종료
스윙 브라우저 아이콘스윙 브라우저Swing BrowserZum InternetXX지원 종료
SlimBrowser logo슬림브라우저SlimBrowserFlashPeak, Inc.OOO
Slimjet슬림제트SlimjetFlashPeak, Inc.OOO
CCleaner Browser...드래건CCleanerGen DigitalOXX
Avant Browser ic...아방트 브라우저Avant BrowserAvant ForceOXX
Norton Private B...아비라 시큐어
브라우저
Avira Secure BrowserGen DigitalOXX
SRWare Iron아이언IronSRWareOOO
어베스트 시큐어 브라우저 로고어베스트 시큐어
브라우저
Avast Secure BrowserGen DigitalOXX
Epic Privacy Bro...에픽EpicHidden ReflexOOX
Microsoft Edge 로...엣지EdgeMicrosoftOOO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레거시 로...엣지 레거시Edge LegacyMicrosoftOXXWindows 10 전용, 지원 종료
Osiris icon오시리스OsirisDecenternetOXX
Opera 로고오페라OperaOpera SoftwareOOO
Opera Classic lo...오페라 클래식Opera ClassicOpera SoftwareO
Waterfox logoWaterfoxWaterfoxAlexandros KontosOOO
네이버 웨일 아이콘웨일WhaleNaver CorporationOOO
Internet Explore...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MicrosoftOXX2023/02/14 서비스 종료(사용 불가)
Chrome 로고크롬ChromeGoogle LLCOOO
Torch Browser lo...토치TorchTorch Media Inc.OX
ToGate logo투게이트ToGateTmax A&CXTmaxOS 기본 내장
Firefox 로고파이어폭스FirefoxMozilla FoundationOOO
Pale Moon 로고페일 문Pale MoonMoonchild ProductionsOOmacOS 비공식 지원
Floorp icon플루프FloorpAblazeOOO
AVG Secure Brows...AVG 시큐어
브라우저
AVG Secure BrowserGen DigitalOXX

5.2. 모바일[편집]

웹 브라우저제작사플랫폼비고
AndroidiOSTizenwebOSSailfish OSKaiOS
Microsoft Edge 로...Microsoft EdgeMicrosoftOOXXXX
2022 Samsung Int...삼성 인터넷삼성전자OXOXXX
Chrome 로고ChromeGoogle LLCOOXXXX
사파리 브라우저 로고SafariAppleXOXXXX
네이버 웨일 아이콘웨일Naver CorporationOOXXXX

6. 역사 속으로 사라진 웹 브라우저[편집]

7. 웹 브라우저의 엔진[편집]

엔진이란 소프트웨어의 중추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브라우저의 경우 렌더링 엔진.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포함된다.

8. 브라우저 전쟁과 5대 브라우저[편집]

웹 브라우저의 점유율 싸움을 브라우저 전쟁이라 한다. 그중에서도 점유율이 가장 높은 5개를 5대 브라우저라 부른다.

웹 브라우저 의인화
위의 사진은 사진작가 Viktorija Pashuta가 5대 브라우저를 의인화한 이미지다. Microsoft의 브라우저가 Edge가 아니라 Internet Explorer였던 시절 이미지.

Microsoft EdgeChromeFirefoxSafariOpera의 사용자 수가 많고 인지도가 높은 주요 5개 웹 브라우저를 ‘5대 브라우저’라고 부른다.

국내와 해외를 가리지 않고 사용되는 표현인데, 주로 해외 커뮤니티 등에서 ‘5개 웹 브라우저’라고 하면 이 5대 브라우저를 말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이용률이 적은 Opera 대신 네이버 웨일을 더해 5대 브라우저라고 부르기도 한다.

9. 기타[편집]

Windows 10에서 창의 색이 시스템색을 따르도록 설정하면 창의 색이 시스템색에 맞게 변하는 웹 브라우저도 있다.

10. 관련 문서[편집]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