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sh Network란? 기존 유선 네트워크 환경은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고 하여 중계기 또는 무선 공유기를 통해 신호를 연결해가는 방식으로 모든 AP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하지만, 메쉬 네트워크는 대표 AP만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기존 무선 통신 기지국처럼 안테나 역할을 할 무선 통신 라우터들이 메쉬 노드가 되어 모든 구간을 무선으로 연결해가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선(라우터)-무선(허브)-무선(허브)-무선(허브)-단말 이라고 보면 된다. 더 쉽게 이야기하면, 지하철 객차에서 무선 WIFI가 어디서든 끊기지 않고 사용하는 원리와 동일. 기존 네트워크가 유선망을 거미줄처럼 엮어 끊김 없는 서비스를 구축한다면, 메시 네트워크는 하나만 유선망에 연결되고 나머지는 선이 없이 장비로 바로 접속이 가능한 형식이다. 이 구성의 장점은 회선 구성에 대한 비용 절감 및 장소의 제약이 어느정도 제거 된다. 단점으로는 무선 트래픽 증가에 따른 통신 요금 주파수 비용의 증가와 끊임없는 송신을 하기 위하여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충분한 장비의 스펙이 따라주지 않는 이상 위치의 이동에 따라 장비의 성능이 저하 될 수 있다. 충분한 메시 구성이 되지 않으면, 하나의 장비가 꺼짐에 따라 연계 구간의 통신이 제한 될 수 있다. 그러나, 도입 장비의 성능은 점점 증가하며 가격이 저렴해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무선으로 서비스 구성을 도입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