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 TCP/IP
2016년01월31일 기출문제
- TCP 헤더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RST 플래그 :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된 것을 알려준다.
- Window Size : 현재 상태의 최대 버퍼 크기를 말한다.
- Reserved : 수신된 Sequence Number에 대하여 예상된 다음 옥텟을 명시한다.
- FIN 플래그 : 3-Way handshaking 과정을 제의하는 플래그이다.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79%
<문제 해설>
3-Way handshaking: tcp에서의 신뢰성 부여 기법
[해설작성자 : nobody]
FIN 플래그: 4-Way handshaking과정을 제의하는 플래그
[해설작성자 : ㅇㅇ]
RST(reset) 플래그 : 비정상적인 세션 연결 해제 플래그
[해설작성자 : 정다빈]
FIN 플래그: 송신기가 데이터 보내기를 끝마침
[해설작성자 : 천재]
2016년01월31일 기출문제
- TCP 세션의 성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세션 성립은 TCP Three-Way Handshake 응답 확인 방식이라 한다.
- 실제 순서번호는 송신 호스트에서 임의로 선택된다.
- 세션 성립을 원하는 컴퓨터가 ACK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는 TCP 패킷을 보낸다.
- 송신 호스트는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을 확인하기까지는 복사본을 유지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70%
<문제 해설>
TCP 세션
– 논리적으로 1:1 회선이 연결된 통신에서 가능하다.
– 송신 패킷을 생성하고, 수신하면서 올바르게 전송되는지 확인하기 때문에 데이터 유실이 없고 정확하다.
– 패킷의 순차 번호(Sequence Number)와 CRC 를 이용하여 신뢰성(안정성) 있는 통신을 수행한다.
[해설작성자 : HSL]
세션 성립을 원하는 컴퓨터가 ACK 플래그를 ‘+1’으로 설정하는 TCP 패킷을 보낸다.
______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나그내]
2016년01월31일 기출문제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서브넷 주소를 인식하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 링크 상태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링크 상태에 대한 변화가 빠르다.
- 메트릭으로 유일하게 Hop Count만을 고려한다.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며, 기본 라우팅 업데이트 주기는 1초이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나. 거리 벡터 방식임
다. 메트릭으로 hop count 만을 고려함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6년01월31일 기출문제
- 성형 토폴로지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중앙 제어 노드가 통신상의 모든 제어를 관리한다.
- 설치가 용이하나 비용이 많이 든다.
- 중앙 제어노드 작동불능 시 전체 네트워크가 정지한다.
- 모든 장치를 직접 쌍으로 연결할 수 있다.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성형 토폴로지는 중앙에서 제어하는 형태이므로,
모든 장치를 쌍으로 연결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2016년01월31일 기출문제
- 패킷교환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패킷과 함께 오류제어를 함으로서 고품질/고신뢰성 통신이 가능하다.
- 패킷을 전송 시에만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설비 이용 효율이 높다.
- 패킷교환의 방식으로는 연결형인 가상회선방식과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Datagram) 두 가지가 있다.
- 복수의 상대방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패킷교환방식에서 복수의 상대방과는 통신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동두천 지행 김준배]
3과목 : NOS
2016년01월31일 기출문제
- Windows 2008 R2 Server에서 사용자 권한 중 원격시스템에서 강제종료가 불가능한 그룹은?
- Backup Operators
- Server Operators
- 도메인 컨트롤러의 Administrators
- 워크스테이션의 Administrators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56%
<문제 해설>
Administrators 그룹만이 원격에서 강제로 시스템 종료가 가능합니다.
‘시스템 종료’는 기본으로 Administrators, Server Opertors, Power Users 그룹만이 로컬에서 시스템 종료 시킬수있구요
즉 Backup Operators 그룹은 원격으로 강제종료가 불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Dos]
2016년01월31일 기출문제
- Windows 2008 R2 Sever의 IIS 7.5 구성요소로서 옳지 않는 것은?
- WWW 게시서비스
- FTP 게시서비스
- Telnet 서비스
- Windows Process Activation Services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53%
<문제 해설>
IIS는 웹서비스, FTP등을 포함하지만 Telnet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추가설치 해주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preholic]
1과목 : TCP/IP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IP 프로토콜의 헤더 체크섬(Checksum)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 체크섬 필드를 ‘0’으로 하여 계산한다.
- 네트워크에서 존재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 데이터 그램의 총 길이를 나타낸다.
- IP 헤더에 대해서만 포함되며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72%
<문제 해설>
Header Checksum 필드의 비트 값을 모두 0으로 설정한 후, 전체 헤더가 16비트 워드의 연속이라 가정하고 1의 보수 합을 수행한다.
이 값을 체크섬으로 하여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 호스트는 1의 보수 합을 계산하여 계산 결과가 모두 1이면 전송 과정에 오류가 없다고 판단한다.
전송 과정에 오류가 발생하면 IP 프로토콜에서는 해당 패킷을 버리고, 이를 복원하는 일은 상위 계층에서 담당한다.
참조 : [네이버 지식백과] IP 헤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2013. 9. 10., 한빛아카데미(주))
[해설작성자 : k]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ICMP 프로토콜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모든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 네트워크 구획 내의 모든 라우터의 주소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터 갱신 정보 메시지를 보낸다.
- Ping 명령어를 사용하여 두 호스트간 연결의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반향과 회답 메시지를 지원한다.
- 원래의 데이터그램이 TTL을 초과할 때 시간초과 메시지를 보낸다.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ICMP 의 특징 >
– 두 호스트간의 연결 신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반향과 회답메시지를 지원한다.
– 첫 번째의 IP데이터그램에 대해서만 오류를 보고한다.
– 라우터에 혼잡이 발생되면 새로운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 ICMP 에러 메시지가 도착하면 소프트웨어 모듈이 제어한다.
– 네트워크 구획 내의 모든 라우터 주소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터 갱신 정보 메시지를 보낸다.
– 어떤 서브넷 마스크가 사용 중인지를 알려준다.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TCP/IP 4계층 모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세션(Session) 계층
- 인터넷(Internet) 계층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 계층
- 응용(Application) 계층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세션 계층: OSI 7계층에 포함
인터넷 계층: TCP/IP 계층에 포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TCP/IP 계층에 포함
응용 계층: TCP/IP, OSI 7계층에 포함
[해설작성자 : ㅊㅎㅅ]
TCP/IP 4계층은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인터넷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으로 이루어져있다.
[해설작성자 : EJY]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다음 중 기가비트 이더넷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하위 호환성을 위하여 IEEE 802.3 프레임 형태를 사용한다.
- 전이중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사용한다.
- 10BASE-T, 100BASE-T 이더넷과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프레임버스팅 기술을 사용한다.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49%
<문제 해설>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은 “반이중” 방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JH]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로 올바른 것은?
- 회선 연결 –> 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링크 해제 –> 회선 해제
- 회선 연결 –> 링크 설정 –> 데이터 전송 –> 회선 해제 –> 링크 해제
- 링크 설정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링크 해제 –> 회선 해제
- 링크 설정 –> 회선 연결 –> 데이터 전송 –> 회선 해제 –> 링크 해제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쉽게 생각하시면 전화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 물리적으로 연결이 되어있는 상태이면(회선연결)
- 전화를 걸고(링크설정)
- 하고 싶은 말 하기 (데이터 전송)
- 전화를 끊는다.(링크 해제)
- 물리적인 연결을 해제한다.(회선해제)
회선연결 -> 링크설정 ->데이터 전송 -> 링크해제 -> 회선해제
[해설작성자 : 손인성]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OSI 참조 모델 중 물리적인 링크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계층은?
- Datalink Layer
- Transport Layer
- Physical Layer
- Session Layer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물리적인 링크 = Mac 주소
맥주소를 통하여 신뢰성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이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OSI 7 Layer에 Protocol을 연결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 Application : FTP, SNMP, Telnet
- Transport : TCP, SPX, UDP
- DataLink : NetBIOS, NetBEUI
- Network : ARP, DDP, IPX, IP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60%
<문제 해설>
Session : NetBIOS
Transport : NetBEUI
[해설작성자 : k]
2계층 DataLink 의 주요 프로토콜 : MAC(이더넷, SPB, 토큰링, FDDI) PPP
[해설작성자 : dev]
3과목 : NOS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아파치 서버의 설정파일인 ‘httpd.conf’의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KeepAlive On : HTTP에 대한 접속을 끊지 않고 유지한다.
- StartServers 5 : 웹서버가 시작할 때 다섯 번째 서버를 실행 시킨다.
- MaxClients 150 : 한 번에 접근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개수는 150개 이다.
- Port 80 : 웹서버의 접속 포트 번호는 80번이다.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파치가 실행될 때 생성 시키는 자식 프로세스 수이다.
[해설작성자 : dev]
2016년04월24일 기출문제
- Linux의 ‘fdisk’ 명령어 옵션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 t : 파티션의 시스템 ID를 변경
- l : 파티션 삭제
- m : 새로운 파티션 추가
- a : 새로운 DOS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48%
<문제 해설>
fdisk 란? 간단하게 –>하드디스크포맷+파티션작업[디스크분배]
“기본적인”추가옵션 명령어–>
-l : list 현재 하드디스크 상태를 나타내줍니다
-d: 파티션 삭제
-n: 새로운 파티션 생성 섹터의 처음과 끝을 잘봐야 합니다
-a: 부팅파티션 설정가능
-t : 파티션 타입(용도?)변경가능
[해설작성자 : JH]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6년07월24일 기출문제
- 패킷 교환 방식의 단점이 아닌 것은?
-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어렵다.
- 패킷 교환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복잡하다.
- 큐잉(queuing) 지연이 존재한다.
- 각 패킷마다 주소를 위한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어렵지 않음
[해설작성자 : 정운]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가를 봐야하는데
표기되어있지는 않지만 패킷교환방식의 상대되는 개념은 회선교환방식입니다.
즉, 문제는 (회선교환방식에 비해) 라는 말이 생략된것과 같습니다.
패킷교환방식은 회선교환 방식보다 선로 장애시 복구가 더 수월합니다.
[해설작성자 : dev]
2016년07월24일 기출문제
- OSI 7 Layer의 각 Layer 별 Data 형태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 Transport Layer – Segment
- Network Layer – Packet
- Datalink Layer – Fragment
- Physical Layer – bit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계층(물리 계층) : 비트(Bit)
2계층(데이터링크 계층) : 프레임(Frame)
3계층(네트워크 계층) : 패킷(Packet)
4계층(전송 계층) : 세그먼트(Segment)
5계층(세션 계층) : 포트(Port)
6계층(표현 계층) : 확장자(jpg, gif, mpg 등)
7계층(응용 계층) : 서비스제공(HTTP, SSH, SMTP, FTP)
※Fragment
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 기억 장소에 맞게
하나의 관계를 여러 개로 나눈 것.
관계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행과 열의 부분 집합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과목 : NOS
2016년07월24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보안 템플릿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보안 템플릿이란 보안 관련 설정들을 미리 정의해 놓은 템플릿이다.
- 기본 보안 템플릿은 ‘%SystemRoot%\Security\Templates’ 폴더에 있다.
- 보안 템플릿 스냅인에서 보안 템플릿 작성 및 적용까지 바로 할 수 있다.
- 보안 템플릿 설정값을 변경하면 이에 따라 제안값 변경 대화상자가 나타날 수 있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보안 템플릿 적용은 ‘보안 구성 및 분석’ 스냅인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016년07월24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는 다양한 인증 매커니즘을 IIS 웹사이트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 IIS 웹사이트의 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기본 인증 –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한다.
- 액티브디렉토리 클라이언트 인증서 –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인증서를 사용하도록 한다.
- 윈도우 NTLM – 윈도우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인증한다.
- 익명 – 계정 입력으로 인증한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익명계정은 로그인시 암호를입력하지않는다 권한이 읽기권한밖에없음
[해설작성자 : 보안]
2016년07월24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Active Directory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액티브 디렉터리상의 모든 개체는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 개체는 이동하거나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 개체의 식별자는 변경할 수 있다.
- 개체들은 디렉터리 개체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ctive Directory 상의 모든 개체는 고유 이름을 가진다.
개체들은 고유 이름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개체는 이동하거나 이름을 수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체의 식별자는 변경할 수 없는거 아닌가요?
[추가 오류 신고]
식별자 변경 불가라고 알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까망이]
[추가 오류 신고]
식별자는 변경 불가고 1번이 오타가 있는 게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낼 시험인데 헷갈리게]
[추가 오류 신고]
문제가 올바르지 않은것으로 해아 정답이 3번이 됩니다.
마소홈에 SID는 변경은 불가능 하다고 나옵니다.
(윈도우 8 기능 보안 식별자 (SID)를도입 . 기능 SID는 고유하고 변경할 수 없는 방식으로 기능을 식별합니다.)
개체는 사용자, 프린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같이 구체적인 무언가를 대표하는 특정 특성들의 집합체입니다.
개체들은 디렉터리 개체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의 개체는 사용자의 성, 이름과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로 분류된 개체들은 “공통 이름”, “전화번호” 그리고 “이메일 주소” 와 같은 특성 형식의 사용을, “조직” 은 “조직 이름” 과 “비즈니스 카테고리” 와 같은 특성을 허용할 것입니다.
특성은 하나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특성의 형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액티브 디렉터리 상의 모든 개체는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체는 이동하거나 이름을 바꿀 수 있지만, 개체의 식별자는 절대 변하지 않습니다.
내부의 개체는 개체의 이름이 아닌 개체의 식별자를 통해 알려집니다.
개체의 식별자는 개체가 생성될 당시 DSA(Directory System Agent)에 의해 할당되는 GUID(Globally Unique Identifier)입니다.
GUID는 objcetGUID라는 특성에 저장되며, 모든 개체의 일부입니다.
objectGUID 특성은 수정되거나 삭제될 수 없습니다. 외부 저장소(예, 데이터베이스)에 액티브 디렉터리 개체를 참조해 저장할 경우, 이름과 달리 절대 변하지 않기 때문에 objectGUID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dk]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가능한분 계시면
문제 내용, 보기내용, 정답 확인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이기적 20년 7월 신간에도 똑같이 나와있으나 옳지않은 것을 고르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개발자인데]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1과목 : TCP/IP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IGMP 쿼리 메시지는 ( A )에서 ( B )로 보내지는 메시지이다. 빈칸에 해당하는 것은?
- A-호스트, B-호스트
- A-호스트, B-라우터
- A-라우터, B-호스트
- A-라우터, B-라우터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63%
<문제 해설>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는 임의의 호스트가 멀티 캐스트 그룹에 가입하거나 탈퇴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이다.
호스트와 라우터 사이에 그룹 멤버 정보를 교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IGMP메세지는 크게 질의(Query) 메시지와 보고(Report)메시지로 구분되며 질의 메시지는 라우터에서 호스트전달, 보고 메시지는 호스트가 라우터로 응답을 회신한다.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IP 데이터그램 전달을 위한 주소 형태 중 IPv4와 비교하여 IPv6에서만 제공되는 서비스는?
- Unicasting
- Multicasting
- Broadcasting
- Anycasting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70%
<문제 해설>
IPv6에만 있는것이 애니캐스트
IPv4에만 있는것이 브로드캐스트
[해설작성자 : 경아기]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ARP와 RAR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가, 라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 ARP와 RARP는 전달 계층(Transport Layer)에서 동작하며 인터넷 주소와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를 변환하는데 관여한다.
- ARP는 IP 데이터그램을 정확한 목적지 호스트로 보내기 위해 IP에 의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RARP는 로컬 디스크가 없는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시스템에 사용된다.
- RARP는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해당 네트워크 주소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의 실제 주소를 얻는다.
입력한 답 : 0 [풀지 않은 문제 입니다. 잘 확인 하세요.]
정답 : [1]
정답률 : 76%
<문제 해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 MAC Address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MAC Address -> IP
ARP 와 RARP는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IP의 체크섬(Checksum)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IP Header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 IP Header와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사한다.
- TCP 계층에서만 체크섬 계산 및 검증 서비스가 제공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50%
<문제 해설>
IP Header를 검사하고 데이터는 검사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동귀]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 정보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개체가 보낸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한 애크널러지먼트(ACK)를 특정시간 동안 받지 못하면 재전송하는 기능은?
- Flow Control
- Error Control
- Sequence Control
- Connection Control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Sequence Control : 순서제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제어의 각 단계를 순차 진행해가는 제어를 말하며,
시퀀스 제어에서는 다음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제어 동작이 정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Flow Control : 흐름제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때 수신 한도를 넘는 과잉 패킷의 입력으로 패킷 분실이나 lock up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흐름 양을 조절하는것
[해설작성자 : WickedMJ]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에러 검출(Error Detection)과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검사합(Checksum)
- 단일 비트 에러 정정(Single Bit Error Correction)
- 해밍코드(Hamming Code)
- 상승코드(Convolutional Code)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검사합 (Checksum)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합계. 오류 검출 방식의 하나이다.
대개는 데이터의 입력이나 전송 시에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 데이터나 전송 데이터의 맨 마지막에 앞서 보낸 모든 데이터를 다 합한 합계를 따로 보내는 것이다.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측에서는 하나씩 받아들여 합산한 다음 이를 최종적으로 들어온
검사 합계와 비교하여 착오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에러검출 기능은 있지만 에러정정 기능은 포함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3과목 : NOS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백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완전 서버 백업(bare-metal backup)이 가능하다.
- 다른 하드웨어에 서버를 복구 할 수 있다.
- 자기 테이프 백업을 지원한다.
- 네트워크 공유나 로컬하드드라이브의 백업을 지원한다.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카세트 테이프가 자기테이프 형식이다.
[해설작성자 : dev]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Linux에서 네임서버와 관련된 설정파일과 그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
- /etc/init.d/named – 네임서버 데몬을 띄워주는 init 스크립트 파일
- /etc/named.conf – 존(zone) 설정 파일
- /etc/rndc.key – 공유키 설정파일
- /var/named/named.ca – 루트네임서버 캐시파일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59%
<문제 해설>
/etc/named.conf
이 파일은 named 데몬의 설정파일이다.
DNS 서버를 구축하고자 할 때 가장많이 접근해야 하는 파일이며, 가장 중요한 파일중의 하나이다.
이 파일에는 개별도메인 설정을 위한 zone파일의 위치, named.ca파일, named.local파일 등에 대한 정보가 있다.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2016년10월23일 기출문제
- 다음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레벨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 RAID 0 – 디스크 스트라이핑을 지원한다. 데이터의 중복저장을 제공하지 않지만, 오류허용을 위한 기능은 지원한다.
- RAID 1 – 미러링을 지원한다. 쌍으로 이루어진 디스크에 복제된 데이터가 중복 저장되어, 컨트롤러는 쓰기시에 단일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것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부하를 분산시킨다.
- RAID 3 – 전용 패리티 드라이브를 통하여 디스크 스트라이핑과 완벽한 데이터 중복을 지원한다. 패리티를 통하여 낮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중복저장을 구현했으며, RAID 1 보다 성능이 뛰어나다.
- RAID 5 – 모든 드라이브와 교차하는 디스크 스트라이핑을 지원한다. 분산된 패리티로 인하여 동시에 작은 I/O 트랜잭션을 갖는 네트워크에 적당하다.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40%
<문제 해설>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
: 여러 개의 물리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로 인식 작동하는 기술
RAID 0 – 스트라이핑 저장방식, 연속된 데이터를 여러디스크에 나눠 저장,
최소 2개의 하드디스크 필요, 입출력 작업이 모든 디스크에서 동시에 진행,
저장과 읽기 속도가 가장 빠르지만 하나의 디스크라도 고장나면 전체 사용불가
RAID 1 – 미러링 방식,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하면 다른디스크에 동일 내용 백업 저장,
데이터 저장시 2배의 용량 필요, 결합허용을 제공하지만 공간효율성 떨어짐
RAID 2 – 스트라이핑 방식, 기록용과 데이터 복구용 디스크 별도 제공, 해밍코드 사용,
디스크 사용 효율성 낮음, 모든 SCSI 디스크에 ECC(에러검출기능)를 탑재하고 있어 실제 사용되지 않음
RAID 3 – 스트라이핑 방식, 오류 검출 위해 패리티 방식 사용, 패리티 정보 저장을 위해 최소 3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필요,
데이터 복구는 패리티 저장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XOR를 계산하여 수행, 대형 레코드 많이 사용되는 단일 사용자시스템에 적합
RAID 4 – RAID 3와 유사, 2개 이상의 디스크와 전용 패리티 디스크 사용, RAID 3은 Byte단위로 저장하며 RAID 4는 Block(Sector)
단위로 저장
RAID 5 – 스트라이핑 방식, 디스크마다 패리티 정보 갖고 있어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어 실무에 많이 쓰임, 섹터 단위 저장,
쓰기 작업이 많지 않은 다중 사용자시스템에 적합
[해설작성자 : Song Seungha]
1과목 : TCP/IP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ICMPv6에서 IPv4의 ARP 역할 및 특정 호스트로의 전달 가능 여부 검사 기능을 하는 메시지는?
- 재지정 메시지(Redirection)
- 에코 요청 메시지(Echo request)
- 이웃 요청과 광고 메시지(Neighbor Solicitation and Advertisement)
- 목적지 도달 불가 메시지(Destination unreachable)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이웃탐색프로토콜 이웃탐색프로토콜 NDP ( Neighbor-Discovery-Protocol )과 연관된 기능으로
NS, NA 는 IPv4의 ARP 기능을 대체한다.
OSI 7계층 중 네트워크인 3계층에 해당하고
TCP/IP 4계층 중 인터넷계층인 2 계층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dev]
ARP는 IP주소를 MAC 주소로 매핑
[해설작성자 : ㅇㄴㅁ]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IP 패킷은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전송량에 있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적당한 크기로 분할하게 된다. 이때 기준이 되는 것은?
- TOS(Tape Operation System)
-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 TTL(Time-To-Live)
- Port Number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83%
<문제 해설>
Maximum Transmission Unit = 최대 전송 단위
MTU 란 하나의 패킷이 가질 수 있는 최대 크기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JJ]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데이터가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패킷이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패킷이 DNS서버 네임서버 레코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81%
<문제 해설>
TTL(Time To Live)
IP-데이터그램이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의 상한선, 라우터에 의해 1씩 감소
DNS-네임서버는 그 레코드를 TTL값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캐시에 저장
[해설작성자 : 매탄동연탄]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먼저 전송된 패킷이 나중에 도착되어 수신측 노드에서 패킷의 순서를 바르게 제어하는 방식은?
- 순서 제어
- 속도 제어
- 오류 제어
- 연결 제어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선 일정한 크기로 단편화해서 전송해야한다. 단편화한 것을 패킷이라한다. 하나의 데이터를 완전히 전송하려면 모든 패킷들이 전부 전송되어야 하는데 이때 패킷들은 순서대로 오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른 경로로 전송이되기에 패킷의 순서가 처음 보낼때의 순서와 달라질 수 있다. 때문에 패킷에 번호를 매기고 그 번호로 패킷의 순서를 수신 단말에서 재조립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다들 화이팅]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OSI 7 Layer 중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 형식을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및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 세션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프리젠테이션 계층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를 하나의 통일된 구문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계층으로서
암호화 및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프레젠테이션 계층이다
[해설작성자 : 웅탁@.@]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패킷 교환망과 메시지 교환망의 가장 큰 차이점은?
- 블로킹(Blocking) 현상의 존재 유무
- 데이터 전송 메시지 단위
- 목적지에 도착하는 메시지의 순서
- 송신 터미널과 수신 터미널 간의 호환성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패킷 교환망 : 데이터 자름
메세지 교환망 : 데이터 안자름
[해설작성자 : 공부못하는애]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전송 장비 중 다중화 장비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 두 개 이상의 단말장치들이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결합된 형태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신호를 결합하여 물리적 회선이나 데이터 링크를 통하여 전송해 주는 시스템이다.
- 시분할 다중화기는 한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을 일정한 주파수 폭으로 나누어 전송한다.
-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는 주파수 편이 변복조의 역할도 수행하므로 별도의 변복조 장치가 필요 없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시분할 다중화 방법은
말그대로 시간을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길문권]
3과목 : NOS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DNS 서버 구성시 동적 업데이트 설정은 무엇을 위함인가?
- DDNS 기능
- 운영체제의 최신 버전 유지
- 조건부 전달자
- DHCP 기능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55%
<문제 해설>
DDNS 또는 Dynamic DNS(동적 DNS)
실시간으로 DNS를 갱신하는 방식이다. 주로 도메인의 IP가 유동적인 경우 사용된다.
ip가 바뀌어도 ddns로 설정한 도메인값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접속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위키백과(출처)]
2017년02월05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그룹정책 – 그룹 정책을 사용하면 한번의 설정으로 많은 사용자와 컴퓨터 개체에 적용 할 수 있다.
- 기본 도메인 정책 – 도메인이 만들어지고 도메인 수준에서 연결될 때 추가되는 사전 구성된 GPO 이다.
- 포리스트 – 공통 Active Directory를 공유하는 하나 이상의 도메인 모음이다.
- 글로벌 카탈로그 – 공동 네임스페이스를 갖는 도메인의 그룹이다.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글로벌 카탈로그-액티브 디렉토리에서 네크워크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 정보를 갖고 있는 분배 데이터 저장소
[해설작성자 : 임현성]
1과목 : TCP/IP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TCP/IP 모델에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가 동작되는 계층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응용 계층
- 전송 계층
- 인터넷 계층
- 네트워크 접속 계층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83%
<문제 해설>
TCP/IP 모델은 4계층 모델이다.
응용계층 – http, ftp, smtp, imap, pop3, telnet, snmp 등
전송계층 – tcp, udp
인터넷계층 – ip, icmp
네트워크 접근 계층 – ppp, 이더넷, 프레임릴레이
arp, rarp 는 인터넷계층, 네트워크접근계층 모두에서 동작한다.
[해설작성자 : 이근수 (한국애니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TCP/IP 모델에서 전송계층은 3계층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ARP,RARP는 인터넷계층 맞는데 데이터링크계층은 아닙니다.
틀린순있는데 의견 올려봅니다.
[해설작성자 : 최현우(네트워크공부)]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A Class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로 ‘255.0.0.0’을 이용한다.
- B Class에서 두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고자 한다면, 실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128.0’이 된다.
- C Class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로 ‘255.255.255.0’을 이용한다.
- C Class에서 다섯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고자 한다면, 실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24.0’이 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라. C Class에서 다섯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고자 한다면, 실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24’가 된다.
[추가 해설]
128+64+32+16+8+4+2+1= 255
로 255.255. ….하는게 채워지죠?
이걸 2진수로 나타내면
11111111.11111111.11111111. ….. 이됩니다.(255.255.255. …. 일경우)
4번을 예로 들어볼께요.
5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고자 하면 숫자가 5이상이 될 때 까지 2를 제곱합니다.
따라서 2^3=8이 되야지만 5가 포함이 되겠죠?
그럼 이렇게 제곱한 숫자를 1로 순서대로 체웁니다.(마음대로 중간에 넣으면 안되요! 10101000. 이런건 불가능합니다.)
11100000가 되겠죠?
그렇다면 이걸 위에 저가 적은거 순서대로 더해줍니다.
128+64+32=224
따라서 4번은 서브넷 마스크 마지막은 224가 되는 것이죠.
그런데 224인데 틀린말이다??
이유는 바로 Class 마다 255의 갯수가 다르게 때문입니다.
A : 255.0.0.0
B : 255.255.0.0
C : 255.255.255.0
이 무조건 들어가야 합니다.
그런데 C Class 인데 255.255.224.0일수가 없겠죠? 이 서브넷 마스크는 B Class를 5개의 네트워크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답은 4번입니다.
(시험 꼭 합격하세요! ㅇㅁㅇ//)
[해설작성자 : 너프대상]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IP 데이터그램이 세 개의 데이터그램으로 분할(Fragmentation)되는 경우 다음 중 옳은 것은?
-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Do Not Fragment’ 비트가 1로 설정된다.
-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More Fragment’ 비트가 1로 설정된다.
-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동일한 ‘Identification’ 값을 갖는다.
- 세 개의 데이터그램 모두 동일한 ‘Offset’ 값을 갖는다.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데이터그램의 의미는 4계층 -세그먼트, 3계층-패킷, 2계층-프레임과 같이 각 계층별 데이터 단위 이름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IP 데이터그램은 패킷을 의미하는데,
패킷의 헤더를 보면 , 괄호안의 숫자는 비트수이다.
버전(4), 헤더길이(4), TOS(8), 패킷총길이(16)
ID(16), 플래그(4), 플래그먼트 오프셋(12)
TTL(8), 프로토콜ID(8), 헤더 체크섬(16)
출발지IP(32)
목적지IP (32)
IP헤더옵션(24), 패딩(8)
데이터~
위와 같이 32비트씩 이루어져 있다. 문제는 이중에 플래그 4비트에 대한 질문이다.
– 첫번 째 bit : 미사용 (항상 0)
– 두번 째 bit : D F bit (Don’t Fragment)
. 분열(조각) 0, 미분열 1
: 1 로 셋팅되면 목적지 컴퓨터가 조각들을 다시 모을 능력이 없기 때문에
중간에 라우터로 하여금 데이터그램을 단편화하지 말라는 뜻
: 0 으로 셋팅되면 라우터에서도 분열(조각,단편)이 가능함을 뜻함
– 세번 째 bit : M F bit (More Fragment)
. 현재의 조각이 마지막이면 0, 더 많은 조각이 뒤에 계속 있으면 1
그러므로,
Do Not Fragment 는 일반적으로 0으로 셋팅
More Fragment 는 세개로 분할되었으므로, 첫번째,두번째 패킷은 1, 마지막 패킷은 0이 된다.
하나의 패킷을 분할했으므로 세개의 패킷은 동일한 ID 값을 갖는다.
오프셋은 분열된 조각들의 어느부분에서 붙여야 하는지를 의미하므로 각 분열된 위치를 갖고 있으므로 서로 다르고,
조립하기 위해 오프셋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이근수 (한국애니고)]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ICMP의 Message Type필드의 유형과 질의 메시지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타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 – Echo Request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 4 – 흐름제어 및 폭주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 5 – 대체경로(Redirect)를 알리기 위해 라우터에 사용한다.
- 17 – Address Mask Request 장비의 서브넷 마스크를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54%
<문제 해설>
ICMP 메시지 타입 필드 값
3 – 목적지 도달 불가
4 – 혼잡으로 데이터그램 폐기
5 – 경로 재지정이 필요함
11 – 타임아웃 or TTL=0
12 – IP 패킷 또는 헤더의 오류
ICMP 질의(Query) 메시지 타입번호의 의미
8 – 보내는 핑 , Echo Request
0 – 돌아오는 핑, Echo Reply 주) ping 을 보내면 목적지까지 갔다가, 목적지가 핑을 되돌려 보냄
13 – 왕복시간 측정용 timeStamp request
14 – 왕복시간 측정용 timeStamp reply
17 – 서브넷마스크를 몰라서 라우터에게 물어봄, Address mask request
18 – 서브넷마스크를 몰라서 라우터에게 물어봄, Address mask reply
10 – 라우터 상태 체크, Router soliciitation
9 – 라우터 상태 체크, Router advertise
[해설작성자 : 이근수 (한국애니고)]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ARP와 RAR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RARP는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해당 네트워크 주소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의 물리적 주소를 얻는다.
- RARP는 로컬 디스크가 없는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시스템에도 사용된다.
- ARP를 이용하여 중복된 IP Address 할당을 찾아낸다.
- ARP와 RARP는 IP Address와 Ethernet 주소를 Mapping하는데 관여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패킷을 네트워크 경로상을 돌아다닐때 2계층 프레임으로 그때 그때 상황에 맡게 캡슐화된다.
이때 프래임에는 목적지 MAC주소가 들어가야 하는데
패킷에는 이미 출발지, 목적지IP가 셋팅되어 있고, 프래임으로 캡슐화하는 과정에서 목적지 MAC 주소를 모를때
기존의 프래임은 일시정지 상태가 되고, ARP라는 프레임이 만들어져서 네트워크로 브로드케스팅 된다.
이때 돌아오는 프래임 있다면 ARP속에 있는 IP 패킷의 주인이거나 어디로 가는 알고 있는 라우터일 것이고, 그들의 맥주소를 담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ARP에 의해 알아온 맥주소를 기반으로 멈췄던 프래임을 완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IP주소(3계층주소, 논리주소)로 맥주소(2계층 주소, 물리주소)를 알고자 할때
RARP는 반대로 동작한다.
[해설작성자 : 이근수 (한국애니고)]
1번은 RARP가 아니라 ARP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쉽게갑시다 쉽게]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다중화(Multiplexing)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전송 효율 극대화
- 전송설비 투자비용 절감
- 통신 회선설비의 단순화
- 신호처리의 단순화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다중화를 시키면 신호처리가 복잡해집니다.
[해설작성자 : 에바다 슈퍼]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인접한 개방 시스템 사이의 확실한 데이터 전송 및 전송 에러제어 기능을 갖고 접속된 기기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고,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전송로로 바꾸는데 사용되는 계층은?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데이터링크 계층 : 전송로 바꾸는데 사용되는 계층
[해설작성자 : 기혀니]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세션계층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 대화 제어
- 데이터 변환
- 데이터 압축
- 암호화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세(션)제(어) 세.제
[해설작성자 : ㅇㅅㅎ]
세션계층(Session Layer)
기능
- 동기화: 어떤 순서로 데이터를 전송 계층으로 전송할지를 결정하고, 전송시 수신자로부터의 확인이 요구되는 곳이 어디인지를 결정
- 세션 연결의 설정과 종료: 세션 연결의 설정과 종료 및 관리에 대한 절차를 규정
- 대화 제어: 누가 언제 보내는지를 결정
[해설작성자 : 정보보안김우석]
3과목 : NOS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삼바(SAMBA)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삼바(SAMBA) 설치는 RPM으로 설치할 수 있다.
-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 MS Windows 계열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 네트워크를 통해 Linux의 NTFS 파일 시스템을 연결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쌈바~~~~
리눅스에서 NTFS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NFS파일 시스템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매탄동연탄]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보안 감사 정책 중 감사항목과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책변경: 사용자 계정 또는 그룹의 생성, 변경, 삭제, 암호의 설정 및 변경 등의 이벤트 성공/실패 로그를 기록
- 권한 사용: 권한 사용의 성공 및 실패를 감사할 경우 사용자 권한을 이용하려고 할 때마다 이벤트 생성
- 로그온 이벤트: 로컬 계정에 대한 로그온/오프 성공/실패에 대한 이벤트를 기록할지를 결정
- 시스템 이벤트: 시스템 시작 또는 종료, 보안 로그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 등을 감사할지 여부를 결정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계정 관리 감사 : 사용자 계정 또는 그룹의 생성, 변경, 삭제, 암호의 설정 및 변경 등의 이벤트 성공/실패 로그를 기록
[해설작성자 : 매탄동연탄]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 DNS 서버에서 정방향/역방향 조회 영역(Public/Inverse Domain Zone)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정방향 조회 영역은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영역
- 정방향 조회 영역에서 이름은 ‘x.x.x.in-addr.arpa’의 형식으로 구성되는데, ‘x.x.x’는 IP 주소 범위
- 역방향 조회 영역은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영역
- 역방향 조회 영역은 외부 질의에 대해 어떤 IP주소를 응답할 것인가를 설정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방향 조회 영역은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역방향 조회 영역은 ip 주소를 도메인 주소로 변환.
[해설작성자 : 정보보안김우석바보~]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컴퓨터가 재시작되거나 종료될 때, 또는 보안에 영향을 주는 기타 이벤트가 발행할 때 감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감사 항목은?
- 시스템 이벤트 감사
- 로그온 이벤트 감사
- 권한 사용 감사
- 개체 액세스 감사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시스템 이벤트 감사 – 사용자가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거나 조욜하는 경우 또는 시스템 보안이나 보안로그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감사할지
로그온 이벤트 감사 – 사용자가 사용자 권한을 사용하는 각 인스턴스를 감사할지
권한사용감사 – 사용자가 사용자 권한을 사용하는 각 인스턴스를 감사할지
개체액세스 감사 – 고유의 지정된 시스템 엑세스 제어목록이 있는 개체에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이벤트를 감사할지
[해설작성자 : ㅎㅎㅎㅎㅎ]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는 이벤트 뷰어를 통하여 시스템을 모니터링한다. 다음 중 이벤트 뷰어의 이벤트 수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보 – 발생한 변경사항을 의미하는데 사용되거나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을 표시할 때 사용된다.
- 위험 – 응용프로그램이나 컴포넌트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외부 문제를 의미한다.
- 경고 – 앞으로 문제가 될 수도 있는 이벤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위험한 것은 아니다.
- 상세 – 상세로그는 로그엔트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제공한다. 로그 엔트리가 상세 기록을 지원한다면 확인란이 선택될 때 기록된다.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위험이 외부 문제를 의미하는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매탄동연탄]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OSPF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IP의 서비스를 받는다.
- 프로토콜 Number는 89번을 사용한다.
- 물리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라 네트워크 타입을 규정하고 있다.
-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50%
<문제 해설>
OSPF 는 Link State Protocol 이다.
[해설작성자 : 비니]
Distance Vector = RIP 이다.
[해설작성자 : 내일 모레 서른]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네트워크 보안 장비 중 네트워크 침입 시도의 흔적을 찾거나 네트워크 장비의 사용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보안 장비는?
- 침입탐지/방지시스템(IDS/IPS)
- 방화벽(Firewall)
- 네트워크관리시스템(NMS)
- 가상사설망시스템(VPN)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침입 시도하니까 침입탐지/방지
[해설작성자 : 쉽게가자]
2017년04월23일 기출문제
- 스위칭 허브(Switch Hu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리피터 회로가 내장되어 메모리는 각 포트 단위로 연결된 노드 주소를 기억
- 프로세서는 전송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고, 패킷이 정해진 목적 포트로만 전송
- 노드간 충돌이나 연결된 노드의 고장으로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하면 전체 노드에 영향을 미침
-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며, 패킷 충돌이 없어 효율을 높일 수 있음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스위칭 허브
– 프로세서, 메머리 운영 소프트웨어로 구성
– 리피터 회로가 내장되어 메모리는 각 포트 단위로 연결된 노드 주소를 기억
– 프로세서는 전송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고, 패킷이 정해진 목적 포트로만 전송
– 목적지 포트 이외에 다른 포트는 패킷을 받을 수 없음
–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며, 패킷 충돌이 없어 효율을 높일 수 있음
– 각각의 노드에 10Mbps를 보장
– 연결된 포트마다 전용 대역폭 할당이 가능 (속도 보장)
[해설작성자 : 므혀]
1과목 : TCP/IP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IPv6 프로토콜의 구조는?
- 32비트
- 64비트
- 128비트
- 256비트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92%
<문제 해설>
IPv6 프로토콜의 경우 스마트 기기들의 증가로 인해 IPv4의 사설ip주소들이 부족하자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프로토콜이다
IPv4 IPv6
(32bit) (128bit)
약 43억개의 ipaddress 약 43x43x43x43억 개의 ipaddress
[해설작성자 : ㄱㅎㅈ]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TCP 세션의 성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세션 성립은 TCP Three-Way Handshake 응답 확인 방식이라 한다.
- 실제 순서번호는 송신 호스트에서 임의로 선택된다.
- 세션 성립을 원하는 컴퓨터가 ACK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는 TCP 패킷을 보낸다.
- 송신 호스트는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을 확인하기까지는 복사본을 유지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72%
<문제 해설>
TCP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약속이 이루어지는데 이 연결과정을 Three Way HandShake라고 부른다.
ACK플래그는 응답 플래그로 성공을 하였을 경우 +1을 하여서 보내준다
[해설작성자 : 강씨]
세션 성립을 원하는 컴퓨터가 SYN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는 TCP 패킷을 보낸다.
[해설작성자 : 지용]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DNS 메시지 헤더 형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ID : 질의를 일으키는 프로그램에 의해 할당되는 16비트 인식자
- QR : 메시지가 요구(1)인지 응답(0)인지를 나타내는 1비트 영역
- OPCODE : 공식적으로 나타난 질의의 유형에 대해 명시
- RA : 반복 질의를 수행하는 응답 네임 서버를 지정하는 1비트 영역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요구(0) , 응답(1)
[해설작성자 : ㅋㅋ]
QR : 메시지가 요구(0)인지 응답(1)인지를 나타내는 1비트 영역 ; 정답
[해설작성자 : 싱글]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IP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한 메시지를 여러 패킷으로 나눈 경우, 패킷들은 보낸 순서와 다른 순서로 도착될 수 있다.
- 한 메시지를 여러 패킷으로 나눈 경우, 각 패킷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보내질 수 있다.
- 하나의 사용자 데이터가 너무 큰 경우는 여러 개의 IP 패킷으로 나누어져 전송될 수 있다.
- 수신측에서는 도착한 IP 패킷의 에러 여부를 검사하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통하여 에러를 회복한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72%
<문제 해설>
ip에는 에러 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이 없다.
[해설작성자 : 정보호호학과 대가대]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오류 검출 방식인 ARQ 방식 중에서 일정한 크기 단위로 연속해서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에 오류가 발견된 프레임에 대하여 재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잘못된 프레임만을 다시 전송하는 방법은?
- Stop-and-Wait ARQ
- Go-back-N ARQ
- Selective-repeat ARQ
- Adaptive ARQ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75%
<문제 해설>
Selet = 선택 repeat =재전송
[해설작성자 : 안찬우]
Stop-and-Wait ARQ : 가장 단순한 오류 제어 방식으로 송신측은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긍정적인 응답(ACK) 또는 부정적인 응답(NAK,REJ)을 반드시 기다린 후에 프레임을 전속하는 방식이다.
Go-Back-N ARQ : 수신측에서 오류 프레임이 발생하면 오류가 발생한 시점(N)부터의 모두 재전송을 요구한다.
Selective-repeat ARQ : 오류 프레임이 발생하면 오류가 발생한 부분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재전송을 요구한다.
Dynamically ARQ : 수신측에서 재전송 요구가 많으면 전송할 프레임의 개수를 줄이고 재전송 요구가 거의 없으면
전송할 프레임의 개수를 늘려 전송한다.
[해설작성자 : JJ]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패킷교환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패킷과 함께 오류제어를 함으로서 고품질/고신뢰성 통신이 가능하다.
- 패킷을 전송 시에만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설비 이용 효율이 높다.
- 패킷교환의 방식으로는 연결형인 가상회선방식과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Datagram) 두 가지가 있다.
- 복수의 상대방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패킷교환은 복수와 통신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안찬우]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네트워크의 구성(Topology)에서 링형(R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장애발생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노드간의 연결을 최소화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 한 통신장치의 오류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준다.
- 확장성이 뛰어나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링형은 확장하기어려운구조이다.
링형은 동그라미로 이어진 구조로 한곳이라도 장애가발생할시 전체 네트워크가 영향이받고 발생한곳을 찾기도쉽다.
[해설작성자 : 나는 잘생긴 안찬우이다.]
3과목 : NOS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Linux 외부에서 마운트 요청이 오면 응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데몬(Daemon)은?
- rpc.mountd
- rpc.nfsd
- rpc.lockd
- rpc.statd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마운트 요청 = mountd
[해설작성자 : 광운대 김한조]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가 제공하는 파일 서비스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
- 디스크 사용량에 제한을 두는 NTFS 쿼터를 폴더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 DFS를 이용해 여러 컴퓨터들에 있는 공유 폴더들을 묶어서 마치 하나의 폴더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 FSRM을 통해 사용자 별 용량을 제한할 수 있고, 특정 파일 유형의 업로드를 제한할 수 있다.
- NTFS 퍼미션을 통해 파일, 폴더 등에 대한 접근 권한을 사용자 별로 설정할 수 있다.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디스크 사용량에 제한을 두는 NTFS 쿼터는 볼륨 단위(C:,D:)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anonymous]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네트워크 모니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MS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제품이다.
-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 Windows Server 2008 R2 운영체제에 기본적으로 설치 되어 있는 제품이다.
- 네트워크 모니터는 Display Filter, Frame Summary, Frame Details, Hex Details 등을 통해 트래픽을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무료로 배포하는것을 다운받아서 사용.
[해설작성자 : 매탄동연탄]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Windows 로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응용프로그램 – 응용프로그램의 이벤트를 기록할 때 사용된다.
- 보안 – 보안로그는 모든 감사된 이벤트를 보여준다.
- Setup – 운영체제와 관련된 이벤트를 기록한다.
- Forwarded Event – 구독을 사용하고 있다면 전달된 이벤트 로그는 이 컴퓨터로 전달된 모든 이벤트를 보여준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58%
<문제 해설>
Setup – 설정 상태 이벤트를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123]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라우터에서 ‘show running-config’ 란 명령어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은?
- ROM
- RAM
- NVRAM
- FLASH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64%
<문제 해설>
show running-config -> RAM에서 지금 설정하고 있는 전체 내용 확인
[해설작성자 : JJ]
2017년07월16일 기출문제
- 주로 단독주택의 초고속 인터넷에 사용되는 기술로 기존에 설치된 Cable TV 회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 FTTH(Fiber to the home)
- VDSL(Very high rate Digital Subscriber Lines)
-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HFC(Hybrid Fiber Coax)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53%
<문제 해설>
HFC :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망
[해설작성자 : JJ]
1과목 : TCP/IP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10.0.0.0/8’ 인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는?
- 255.0.0.0
- 255.128.0.0
- 255.224.0.0
- 255.254.0.0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n >= 115
2^7 =128개 (115개의 서브넷보다 많거나 같아야함 115개를 만들수있는 최소 2n승이라고 생각 하면 됨)
2^7 >= 115
11111110 = 254
255.254.0.0 ㅇㅋ? 이상하면 수정 해줭..
[해설작성자 : Jeon]
걍 115+2 = 117
117이랑 가까운건 128
128은 2의7승
7은 1의 개수를 뜻
11111110
255.11111110.0.0
그래서 255.254.0.0
[추가 해설]
저와 같은 생초보님들을 위한 추가설명
(115개의 서브넷보다 많거나 같아야함 115개를 만들수있는 최소 2n승이라고 생각 하면 됨)라는 말은
최적의 배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귤이 5개씩묶어있는 2개의 귤뭉치 1봉지가(총10개) 있습니다. 4사람이 쪽같이 나눠먹게 달라고 합니다.
그럼 일반적으로 10개의 1봉지를 다주고 먹고싶은맘큼만 먹으라고 하면되겠지만
최적의 배분으로 생각해보았을시 5개의 1묶음만 주고 1개씩 나눠먹으라고 하는것이 최적이겠죠..
1개가 남겠지만, 먹든 버리든 자체 적으로 처리 할것입니다.
10개를 모두 주었을시 4개만 먹고 6개가 버려지는것보다는 좋겠죠?
[해설작성자 : 킹왕짱초보]
가장 편하게 생각 합시다
254,252,248,240,224,192,128,64,32,16,8,4,2
- ex) 115니까 128의 서브넷을 서야하는 네트워크 임
그럼 아까올린 15개의 수를 2로 나눠서 나온값이 128개면 정답
254를 2로 나누면 127개 이므로 255.254.0.0
[해설작성자 : 사이엘]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TCP 헤더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RST 플래그 :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된 것을 알려준다.
- Window Size : 현재 상태의 최대 버퍼 크기를 말한다.
- Reserved : 수신된 Sequence Number에 대하여 예상된 다음 옥텟을 명시한다.
- FIN 플래그 : 3-Way handshaking 과정을 제의하는 플래그이다.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73%
<문제 해설>
RST 플래그 : 강제 연결 초기화 용도
Reserved :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남겨둔 예비 필드
FIN 플래그 : 연결해체, 회선최종 종결 용도
[해설작성자 : H-LJS]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RARP 과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RARP 요청은 송신 호스트가 송신자이고, 목적 호스트이기도 하다.
- 클라이언트 호스트는 RARP 메시지를 RARP 서버로 보낸다.
- RARP 서버는 반드시 송신 호스트와 같은 네트워크 세그먼트에 위치해야 한다.
- RARP는 동적으로 IP Address를 할당할 수 있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라: DHCP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RIP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RIP 메시지는 전송계층의 UDP 데이터그램에 의해 운반된다.
- 각 라우터는 이웃 라우터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배정표를 갱신한다.
-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 네트워크의 상황 변화에 즉시 대처하지 못한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57%
<문제 해설>
RIP 프로토콜은 라우팅 프로토콜로써 라우터 간에 경로설정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 RIP 메시지는 UDP를 이용하여 경로설정 정보를 주고 받는다.
- 맨 처음 설명한대로 경로 설정 정보를 교환하는데 이렇게 교환하여 얻은 정보들을 모아 경로 배정표를 만든다.
- RIP 프로토콜은 유니케스팅 프로토콜이다.
- RIP는 일정 시간마다 경로설정 정보를 주고 받는다. 때문에 상황 변화에 맞춰서 그 즉시 변경 사항을 전해주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시험 준비하시는 분들 화이팅]
RIP(RIPv1)는 브로드캐스팅 , RIPv2는 멀티캐스팅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멀티 플렉싱 방식 중 주파수 대역폭을 다수의 작은 대역폭으로 분할 전송하는 방식은?
- ATDM(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STDM(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FDM)는 통신 매체에서 이용 가능한 총 대역폭을 겹치치 않는 일련의 주파수 하부 대역으로 분리시킨 뒤, 분리된 대역을 각각 개별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을 가리킨다.
[해설작성자 : 경기과학기술대학생]
TDM:시분할 다중화
FDM:주파수분할 다중화
CDM:코드분할 다중화
WDM:파장분할 다중화
3과목 : NOS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tar로 묶인 ‘mt.tar’를 풀어내는 명령은?
- tar –tvf mt.tar
- tar -cvf mt.tar
- tar –cvvf mt.tar
- tar -xvf mt.tar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63%
<문제 해설>
tar은 .tar 파일로 압축하기/압축풀기 관련 명령어이다.
tar -cvf [파일명.tar] [폴더] : 폴더를 파일명.tar로 압축
tar -xvf [파일명.tar] : 파일명.tar의 압축을 해제
[해설작성자 : 폴수학학교]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 설치된 DNS에서 지원하는 레코드 형식 중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의 레코드 형식은?
- CNAME
- MX
- A
- PTR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가상이름이니 영어 NAME인 CNAME이정답
[해설작성자 : 괴도루팡]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Active Directory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 액티브 디렉터리상의 모든 개체는 고유한 식별자를 가진다.
- 개체는 이동하거나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 개체의 식별자는 변경할 수 없다.
- 개체들은 디렉터리 개체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개체는 이름 변경을 할 순 있지만 식별자는 절대 절대 절대 절얼대로 변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합격만제발]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리눅스 시스템에서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 사용하는 명령어로 옳지 않은 것은?
- fdisk
- mount
- df
- cat /etc/mtab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54%
<문제 해설>
fdisk는 파티션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해설작성자 : [토요일에 시험봄 망함 ㅠ]]
리눅스 시스템에서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 사용하는 명령어
mount
df
cat/etc/mtab
[해설작성자 : 사나이]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Linux의 아파치(Apache) 설정파일(httpd.conf)에서 설정 가능한 옵션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 Port : 포트번호를 지정한다.
- DocumentRoot : 아파치 설정과 관련된 문서의 위치를 지정한다.
- Timeout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기본값은 60초이다.
- MaxClients : 웹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수이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58%
<문제 해설>
DocumentRoot – 서버의 웹문서가 있는 경로
Timeout – 서버와 연결이 되어있을 때 서버간 아무런 메세지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타임아웃을 시키고 연결을 끊을 시간을 초 단위로 설정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2017년10월22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DNS 서버 구성 시 보조 영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보조 DNS 서버를 설정하는 것이다.
- 주 DNS 서버로부터 영역 DB를 받아오지만, 모든 DB 복사본을 유지하지 않고 일부 레코드의 복사본만 유지한다.
- 주 DNS 서버로부터 받아온 DB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 보조 DNS 서버를 두는 이유는 내결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모든 데이터베이스와 레코드를 가져옵니다.
[해설작성자 : 사람과인터페이스]
주 DNS 서버로부터 영역 DB를 받아오지만, 모든 DB 복사본을 유지하지 않고 일부 레코드의 복사본만 유지한다.
일부 레코드의 복사본이 아니라 모든 레코드와 데이터베이스를 가져옴
[해설작성자 : 철수]
1과목 : TCP/IP
2018년02월04일 기출문제
- DNS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A : DNS 이름과 호스트의 IP Address를 연결한다.
- CNAME : 이미 지정된 이름에 대한 별칭 도메인이다.
- AAAA : 해당 도메인의 주 DNS 서버에 이름을 할당하고 데이터를 얼마나 오래 캐시에 저장할 수 있는지 지정한다.
- MX : 지정된 DNS 이름의 메일 교환 호스트에 메일 라우팅을 제공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71%
<문제 해설>
AAAA 레코드의 기능 및 역할은 A 레코드와 동일
[해설작성자 : 대우직업능력개발원 5반 함승필짱]
AAAA 레코드의 기능 및 역할은 A 레코드와 동일
A 레코드는 IPv4
AAAA 레코드는 IPv6
[추가 해설]
A는 ipv4를 연결할 때,
AAAA는 ipv4를 연결할 때
[해설작성자 : 쉽게갑시다 쉽게]
추가해설에서 A는 IPv4를 연결할 때 사용되고, AAAA는 IPv4를 연결할 때 사용된다 그러는데 IPv6라고 바꿔야 한다
-> A는 IPv4를 연결할 때
AAAA는 IPv6를 연결할 때
2018년02월04일 기출문제
- 서브넷 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서브네팅이란 주어진 IP 주소 범위를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분리하는 작업이다.
-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목적지 호스트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있는지 확인한다.
- 필요한 서브넷의 수를 고려하여 서브넷 마스크 값을 결정한다.
- 서브넷 마스크는 Network ID 필드는 ‘0’으로, Host ID 필드는 ‘1’로 채운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네트워크 ID 필드는 1로, 호스트 ID 필드는 0으로 채웁니다
255.255.255.240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
NNNNHHHH 항상 오른쪽부터 0을 채운다고 생각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8년02월04일 기출문제
- 에러를 제어하거나 정정하기 위한 기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패리티 검사(Parity Check Bit) : 원래의 데이터에 1비트를 추가하여 에러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방식
- 순환 잉여도 검사(CRC) : 순환 중복 검사를 위해 미리 정해진 다항식을 적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
- 해밍코드(Hamming Code) : 전송된 문자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EOR)을 누적하여 그 결과에 근거를 둔 오류 검색 방식
- 블록합 검사(BSC) : 패리티 검사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으로, 프레임 내에서 모든 문자의 같은 위치 비트들에 대한 패리티를 추가로 계산하여 블록의 맨 마지막에 추가 문자를 부가하는 방식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해밍코드는 에러를 탐지하고 교정할 수 있는 FEC(Forward Error Control) 기법으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에러를 탐지하고 있다.
2018년02월04일 기출문제
-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에서 PDU(Protocol Data Unit)의 보내지는 순서를 명시하는 기능으로 순서 결정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은?
- 흐름 제어
- 에러 제어
- 순서 제어
- 연결 제어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연결제어는 물리적임으로 맞지않다.
2018년02월04일 기출문제
- OSI 7 Layer 중 2 계층에 해당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은 근거리 통신망(LAN)의 어느 계층에 해당되는가?
- CSMA/CD 및 논리링크제어(LLC)
- 물리 접속 및 매체액세스제어(MAC)
- 논리링크제어(LLC) 및 상위 레벨(HILI)
- 논리링크제어(LLC) 및 매체액세스제어(MAC)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이며 네트워크 접속계층, 논리링크제어(LLC) 및 매체엑세스제어(MAC)
[해설작성자 : 귀여운 지건이 최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애초에 답이 2개 아닌가요 1번보고 바로골랐는데
CSMA/CD 방식도 LAN 환경에서 이루어지니까 2계층 아닌가요???
MAC 테이블에있는 MAC주소를 기반으로 해서
Source Macaddress destination address 를 중점에 두고
프레임상에서
flooding 을 한 뒤 destination으로부터 응답신호를 받으면 fillterfing으로 포트 걸러내고 forwarding으로 상호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며 충돌 시 back off 알고리즘을 통해 버퍼에서 대기했다가 다시 프레임상으로 실려 전송되는걸로아는데
이게 왜 2계층이 아니라는건지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귀여운 지건이 최고]
[오류신고 반론]
CSMA/CD는 2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지, OSI 7계층 모델의 프로토콜은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This is sparta!!]
2018년02월04일 기출문제
- 멀티 포인트 방식에서 터미널로부터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절차로, 터미널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가를 묻는 것은?
- 컨텐션(Contention)
- 폴링(Polling)
- 셀렉션(Selection)
- 라우팅(Routing)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회선제어 방식 (폴링&셀렉션)
폴링 방식 : 터미널에서 전송할 데이터의 유무가 있는지 묻는다
셀렉션 방식 : 터미널에서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었는지 묻는다
[해설작성자 : 폴수학학교]
2018년02월04일 기출문제
- IEEE 표준안 중 CSMA/CA에 해당하는 표준은?
- 802.1
- 802.2
- 802.3
- 802.11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76%
<문제 해설>
CSMA/CA는 충돌 회피 이며, 유선상에서는 회피를 할 수 없고, 무선상에서 가능합니다. 해당 문제는 무선의 IEEE표준안을 찾는 문제이므로 802.11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국디지털융합직업전문학교]
[추가 해설]
CSMA/CD 유선LAN에서 사용 802.3
CSMA/CA 무선LAN에서 사용 802.11
[해설작성자 : YG]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공식 사이트가서 직접 보시면
802.11 라고 나와있습니다. 문제오류가 아닙니다. 잘 찾아보시고 답변 다시길 바랍니다. 책과 인터넷이 802.3이라고 나와있으면 책과 인터넷 자료가 잘못된겁니다. 모르는 것이 많으면 공부 더하시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지만 위 해설과 같은 이유로 정답은 4번입니다.
[대표 오류 신고 내용]
CSMA/CA는 IEEE 표준안에서 802.3으로 알고있고 802.11은 무선랜 입니다. 제가 모르는 것이 많아도 이건 아닌걸로 아는데 수정 부탁드립니다.
[추가 신고 내용]
802.3이 IEEE표준안 CSMA/CA맞습니다 혹시몰라 책과 인터넷을 뒤져봐도 문제오류같네요
[해설작성자 : EffectI]
[오류신고 반론]
ㅋㅋㅋㅋㅋ 아니 “CSMA/CA는 802.3이고, 802.11은 무선랜이다”라고 하시는 분, CSMA/CA가 무선랜입니다;
모르는 것이 많으신 것 같네요. 802.3은 CSMA/CD입니다. 괜히 혼란만 주지 마세요.
∴ CSMA/CA = 무선랜 = 802.11
CSMA/CD = 유선랜 = 네트워크 카드 = 802.3
IEEE 802.3 CSMA/CD
IEEE 802.4 Token bus
IEEE 802.5 Token ring
IEEE 802.11 CSMA/CA
3과목 : NOS
2018년02월04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Hyper-V의 스냅숏(Snapsho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스냅숏은 가상컴퓨터의 특정 시점이다.
- 스냅숏의 내용은 가상디스크, 메모리, 프로세스,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 스냅숏은 가상 컴퓨터를 복사하는 기술이다.
- 하나의 가상컴퓨터에 여러 개의 스냅숏을 만들 수 있다.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어느 한 순간 주기억 장치나 하드웨어 레지스터, 상태 표시기 등의 모든 내용을 포함한 메모리의 현재 상태를 저장한 것. 시스템이 고장으로 정지했을 때 복구를 위해 주기적으로 저장된다.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8년04월22일 기출문제
- 다음 내용이 나타내는 매체 방식은?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Token Passing
- Demand Priority
- CSMA/CA
- CSMA/CD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79%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
2018년04월22일 기출문제
- 프로토콜 계층 구조상의 기본 구성요소 중 실체(Entity) 간의 통신 속도 및 메시지 순서를 위한 제어정보는?
- 타이밍(Timing)
- 의미(Semantics)
- 구문(Syntax)
- 처리(Process)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71%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
3과목 : NOS
2018년04월22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보안 템플릿을 시스템에 적용하기 전에 만일을 위해 롤백 템플릿을 생성하고자 한다. 그런데 롤백 템플릿을 통해서도 이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는 항목은?
- 파일시스템과 레지스트리
- 계정 정책
- 시스템 서비스
- 제한된 그룹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보안 템플릿에서 백업, 복구를 할 때에 파일 시스템과 레지스트리는 롤백 대상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Qoo]
2018년04월22일 기출문제
- 아파치 웹서버의 서버 측 에러 메시지 내용으로 맞는 것은?
- 502 (Service Unvailable) : 클라이언트 요청 내용에는 이상이 없지만,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
- 501 (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 503 (Bad Request) : 게이트웨이의 경로를 잘못 지정해서 발생된 경우
-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에 보낸 요청 메시지 형식을 서버가 해석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59%
<문제 해설>
500 : Internal server error, 내부서버 오류(잘못된 스크립트 실행시)
501 : Not implemented,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가 수행할 수 없는 행동을 요구함
502 : Bad gateway, 서버의 과부하 상태
503 : Service unavailable, 외부 서비스가 죽었거나 현재 멈춤 상태
[해설작성자 : PJH]
2018년04월22일 기출문제
- 액티브 디렉터리의 여러 구성 단위들이 작은 것부터 크기가 커지는 순으로 나열된 것은?
- 도메인 < 조직구성단위 < 트리 < 포리스트
- 트리 < 포리스트 < 도메인 < 조직구성단위
- 조직구성단위 < 도메인 < 트리 <포리스트
- 조직구성단위 < 트리 < 포리스트 < 도메인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반대로 큰 것부터 작은 것으로 문제가 나온다.
포리스트(트리가 2개이상이 모였을 때) > 트리 > 도메인 > 구성단위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이다]
2018년04월22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 환경에서 파일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NTFS 권한과 공유 권한이 동시에 설정될 경우 NTFS 권한 설정 내용이 공유 권한 설정보다 우선한다.
- 공유 설정 시 디폴트로 주어지는 사용권한은 보안상 안전하다.
- 드라이브의 등록정보 창에서 공유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명령창에서는 netuse로 확인한다.
- hidden 공유의 경우에는 공유이름 끝에 ‘#’ 이 붙는다.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65%
<문제 해설>
hidden 공유의 경우에는 공유이름 끝에 ‘$’이 붙는다.
[해설작성자 : 남재욱 똥쟁이]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2018년04월22일 기출문제
- 스위칭 허브(Switch Hu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리피터 회로가 내장되어 메모리는 각 포트 단위로 연결된 노드 주소를 기억
- 프로세서는 전송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고, 패킷이 정해진 목적 포트로만 전송
- 노드간 충돌이나 연결된 노드의 고장으로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하면 전체 노드에 영향을 미침
-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며, 패킷 충돌이 없어 효율을 높일 수 있음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스위칭 허브는 충동제어 장치가 있어서 트래픽 용량이 많아져도 전체 노드에 영향 안미친다.
[해설작성자 : 합격만하고싶다]
1과목 : TCP/IP
2018년07월15일 기출문제
-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A, B, C Class 대역의 IP Address는 모두 같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 하나의 네트워크 클래스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IP Addres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서브넷 마스크는 목적지 호스트의 IP Address가 동일 네트워크상에 있는지 확인한다.
-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 Traffic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86%
<문제 해설>
A =255.0.0.0
B =255.255.0.0
C =255.255.255.0
입니다!
[해설작성자 : 너프대상]
2018년07월15일 기출문제
- IP 헤더 필드들 중 처리량, 전달 지연, 신뢰성, 우선순위 등을 지정해 주는 것은?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IHL(IP Header Length)
- TOS(Type of Service)
- TTL(Time To Live)
- Header Checksum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69%
<문제 해설>
TOS 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3비트의 상위 및 4비트의 서비스 유형지정비트 그리고 사용되지 않은 1비트 TOS 필드를 사용하여 라우터나 호스트 등의 장치에서 패킷 처리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할 수있다.
[해설작성자 : kkk]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8년07월15일 기출문제
- 패킷 교환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연결설정에 따라 가상회선과 데이터그램으로 분류된다.
- 메시지를 보다 짧은 길이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한다.
- 망에 유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전송속도가 빠르다.
- 블록킹 현상이 없다.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상식적으로 생각했을때 유입되는 데이터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느려지겠죠?
[해설작성자 : Arsirea]
3과목 : NOS
2018년07월15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Active Directory에서 두 개 이상의 트리(Tree)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구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도메인(Domain)
- 트리(Tree)
- 포레스트(Forest)
- 사이트(Site)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81%
<문제 해설>
Tree = 나무 나무가 모이면 숲(Forest)
[해설작성자 : 앙기모]
2018년07월15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보안템플릿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보안 관련한 설정들을 미리 정의해 놓은 템플릿이다.
- 모든 그룹 정책에서 ‘가져오기’ 하여 적용할 수 있다.
- 보안템플릿은 그룹정책의 컴퓨터구성에만 적용되고 사용자 구성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무선네트워크, 공개 키, 소프트웨어 제한, 그리고 IP 보안에 적용되는 정책과 같이 몇몇 보안 설정들도 보안템플릿에 포함된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40%
<문제 해설>
- 무선네트워크는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기모띵]
- 보안 템플릿은 로컬 보안 정책인 도메인 보안 정책에 대해 보안 구성을 제공하는 도구이다.
이것은 미리 설정해 놓은 다양한 보안 정책에 대한 로그를 관리하는 것으로 공개키나 소프트웨어 제한 정책을 설정하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알라알라코]
2018년07월15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이벤트 뷰어에서 로그온, 파일, 관리자가 사용한 감사 이벤트 등을 포함해서 모든 감사된 이벤트를 보여주는 로그는?
- 응용 프로그램 로그
- 보안 로그
- 설치 로그
- 시스템 로그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감사 = 보안
[해설작성자 : WS]
이벤트 로그의 종류
응용프로그램 로그 :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한 다양한 이벤트가 저장되며, 기록되는 이벤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 의해 결정
보안 로그 : 유효하거나 유효하지 않은 로그온 시도 및 파일 생성, 열람, 삭제 등의 리소스 사용에 관련된 이벤트를 기록. 감사로그 설정을 통해 다양한 보안 이벤트 저장 가능
설치 로그 :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 프로그램이 잘 설치되었는지 ,호환성문제가 일어나지 않는지 이 기록을 보면 알 수 있음
시스템 로그 : Window 시스템 구성요소가 기록하는 이벤트로 시스템 부팅 시 드라이버가 로드 되지 않는경우와 같이 구성요소의 오류를 이벤트 기록
1과목 : TCP/IP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IP Address 할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Class A는 최상위 3비트를 ‘110’으로 설정한다.
- Class B는 최상위 2비트를 ’10’으로 설정한다.
- 모든 Host ID의 비트가 ‘1’일 경우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인식되기 때문에 할당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 Network ID로 ‘127.x.x.x’는 할당하여 사용할 수 없다.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80%
<문제 해설>
Class A는 최상위 비트를 0
Class B는 최상위 비트를 10
Class C는 최상위 비트를 110 으로 고정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는 제우스 벼락을치지]
IP v4 는 총 4 옥텟으로 이루어져 있고,
한 옥텟은 8 비트를 나타내죠
1번째비트 : 2번째비트 : 3번째비트 : 4번째비트 : 5번째비트 : 6번째비트 : 7번째비트 : 8번째비트
128 : 64 : 32 : 16 : 8 : 4 : 2 : 1 (이진수)
이걸 더하면 총 255 가 나오기때문에 브로트캐스트 주소는 255 가 나오는 것이고,
0000 0000(네트워크 주소) 도 존재하기에 총 256 개의 경우의 수가 나온다
여기서 첫번째 비트가 1 일경우 128 이라는 숫자가 이미 있기에 128 이하의 숫자가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128 ~ 191 즉, 128 부터 시작하는 B 클래스는
최상위 2비트가 10 으로 시작한다는 것이고 (11로 시작할시에 192가 넘어서 C 클래스)
110 으로 시작해야지 (첫번째 옥텟이 192 ~ 223 인 C 클래스 즉, 128 로시작)
192(128(1번째 비트) + 64(2번째 비트)) 이하의 숫자가 안나오기 때문에 110 으로 시작해야 C 클래스라는 것.
A클래스(첫번째 옥텟이 0 ~ 127)도 같은 원리이니 이하 생략.
[해설작성자 : 힘내십시오]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UDP 헤더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Source Port : 데이터를 보내는 송신측의 응용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포트 번호이다.
- Destination Port : 데이터를 받는 수신측의 응용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포트 번호이다.
- Length : 데이터 길이를 제외한 헤더 길이이다.
- Checksum : 전송 중에 세그먼트가 손상되지 않았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71%
<문제 해설>
Length(길이) : 프로토콜 헤더를 포함한 UDP 데이터그램의 전체 크기다. 단위는 바이트고, UDP 헤더의 크기가 8바이트므로 최솟값은 8이다.
데이터 길이 포함이랍니다. 네이버님께서
[해설작성자 : 뽀로로]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ARP와 RAR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RARP는 로컬 디스크가 없는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시스템에도 사용된다.
- ARP는 IP 데이터 그램을 정확한 목적지 호스트로 보내기 위해 IP에 의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RARP는 IP Address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그 IP Address에 대한 MAC Address를 알아낼 때 사용한다.
- ARP와 RARP의 패킷 구조는 매우 비슷하다.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76%
<문제 해설>
ARP는 ip 주소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mac주소를 알아내어 학습하는 것이고,RARP는 그 반대의 의미이다
[해설작성자 : Atem]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IPv4의 헤더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VER 필드는 IP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낸다.
- HLEN 필드는 헤더의 길이를 표시한다.
- Identification 필드는 수신 호스트에 의해 생성되는 유일한 식별자이다.
- Protocol 필드는 패킷이 전송되어져야 할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ID를 담는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7%
<문제 해설>
Identification(식별자 혹은 구분자) : IP 헤더의 두 번째 워드에는 패킷 분할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다. 이중 Identification 필드는 송신 호스트가 지정하는 패킷 구분자 기능을 수행한다. IP 프로토콜이 분할한 패킷에 동일한 고유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수신 호스트가 Identification 번호가 같은 패킷을 다시 병합(Reassembly)할 수 있도록 해준다. 패킷을 분할하지 않으면 패킷을 전송할 때마다 이 필드의 값을 하나씩 증가시킨다.
수신이 아니라 송신
[해설작성자 : 뽀로로]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C Class에서 유효한 IP Address는?
- 33.114.17.24
- 128.46.83.25
- 202.67.13.87
- 222.248.256.34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81%
<문제 해설>
C클래스는 맨 앞자리가 192 ~ 223까지인데 답을 보면 3번, 4번이 있어요. 근데 4번 답을 잘 보면 뭔가 이상한 기분이 들겁니다.
IPv4의 주소는 최대 값이 255인데 3번째 자리 값이 256이예요!!!!!!!! 시험 볼 때 문제가 잘못됐나 해서 한참 보다가 깨달았다는 전설이….
참고로 맨 앞자리가
A클래스는 0 ~ 127
B클래스는 128 ~ 191
C클래스는 192 ~ 223
D클래스는 224 ~ 239
E클래스는 240 ~ 255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감사합니다.]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TCP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흐름제어 방식은?
- GO-Back-N
- 선택적 재전송
- Sliding Window
- Idle-RQ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s)는 두 개의 호스트간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다.
- TCP와 같이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는 프로토콜에서는 패킷 하나하나가 전달되었음을 확인하는 신호(ACK)를 받아야 하고
- 패킷이 잘못되엇거나 없어서 확인이 안될 경우 해당 패킷을 재전송해야 함
[해설작성자 : 사이엘]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LAN에서 사용하는 CSMA/CD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무선랜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ACK 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송하기 전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후 전송을 시작한다.
- 송신을 원하는 호스트는 송신 전에 다른 호스트가 채널을 사용하는지 조사한다.
- 전송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채널을 감시하여 충돌이 발생하는지를 조사한다.
-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충돌한 데이터들은 버려지고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들에게 재전송을 요구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무선랜에 사용되는 방식은 CSMA/CA이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전송을 받는 개체에서 발송지로부터 오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제한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는?
- 에러 제어
- 순서 제어
- 흐름 제어
- 접속 제어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양이나 속도를 제한” -> “흐름” 제어
[해설작성자 : 아미띠에]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패킷교환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패킷은 가변 길이를 갖는다.
- 패킷은 절대로 손실될 수 없다.
- 패킷은 단편화될 수 있다.
- 패킷은 중복될 수 있다.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패킷은 손실될 수 있고 손실될 시 재전송 요구를 통해 다시 전송되게 됩니다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며 TCP/IP의 특징을 생각하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WickedMJ]
3과목 : NOS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다음 중 ( )에 알맞은 것은?( )은/는 호텔이나 그 외의 공공 접속장소에서 일반적으로 차단되어 있지 않은 포트를 사용하여 SSL상에서의 VPN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NAP와 통합되어 있고, 기본 IPv6 트래픽을 지원한다. ( )은/는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로 통합되어 있고, SSL 연결을 통한 단일 IPv6의 사용을 통해 부하를 분산하면서 네트워크 사용량을 최소화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RADIUS
- PPTP
- L2TP
- SSTP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단순 대칭 전송 규약[ Simple symmetric transmission protocol ]
-2가지 프로그램이 단일 전송망에서 비동기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규정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
단일 네트워크의 동등 노드들 간의 접속을 위해 다수의 접속 종단점들을 지원해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해설작성자 : 대우능력개발원 4반 JDH]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 서버의 IIS 기본 웹사이트 등록 정보의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IP 주소: 사이트가 사용할 IP 주소를 기록하며, 한 컴퓨터에 2개 이상의 IP가 할당된 경우는 IP의 접속 순서를 지정
- TCP 포트: 웹서버 시스템의 물리적인 시리얼 포트 번호를 지정
- 연결 수 제한: 웹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수 제한을 지정
- 연결 시간 제한: 웹서버에 접속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세션을 끊도록 지정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웹서버 시스템의 물리적인 시리얼 포트 번호를 지정할 수 있는 필드는 tcp 포트가아니라 http포트이다.
[해설작성자 : 231]
2018년10월21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새로운 보안정책을 작성할 때 포함시키는 서비스는?
- 그룹정책관리
- 보안템플릿
- 서버관리자
- 이벤트뷰어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70%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
1과목 : TCP/IP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10.0.0.0/8′ 인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는?
- 255.0.0.0
- 255.128.0.0
- 255.224.0.0
- 255.254.0.0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0.0.0.0/8.0.0.0(A Class) —> 10.0.0.0/255.0.0.0(A Class)
필요 서브넷 개수 =< 2^n —> 115개의 서브넷 2^6 = 64, 2^7 = 128 이므로 2^7에 가깝다.
진수로 표현 1111 1111.1111 1110.0000 0000.0000 0000 —> 십진수로 변환 255.254.0.0 이 됩니다.
[추가 해설]
10.0.0.0/8″은 IP 주소 블록을 나타냅니다. IP 주소와 서브넷의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IP 주소 (10.0.0.0) –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전역 주소 지정 체계입니다.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 장치는 IP 주소로 인식 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는 각 장치에 할당되며 고유합니다. IP 주소는 32 비트 숫자이며 각 8 비트는 10 진수로 구분됩니다. 공개 및 비공개의 두 가지 유형의 IP 주소가 있습니다. 공용 IP 주소는 고유하며 사무실에 집단적으로있는 네트워크 (컴퓨터 그룹)에 할당됩니다. 그러나 사무실의 여러 시스템에는 공통적 인 사설 IP가 할당되어 다른 조직의 시스템에 할당 될 수 있습니다.
서브넷 또는 IP 블록 (/ 8) – 사용자가 여러 포트와 서비스로 구성된 프로덕션 서버의 소유자라고 가정 해보십시오. 또한 매일 많은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합니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여러 IP 주소 또는 IP 범위가 필요합니다. 서브넷 프로세스는 IP 주소를 작은 블록으로 나누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숫자와 함께 “/”표기법을 접두어라고합니다.
IP 범위 계산 – IP 주소 다음의 “/”표기법을 사용하여 해당 범주에 속하는 IP 주소 범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해야 할 일은 숫자 32에서 접두사를 빼는 것입니다 (IP 주소는 32 비트 숫자 임). 결과를 2의 지수로 넣으면 해당 범위에있는 IP 수를 얻습니다.
예를 들어 “/ 8″접두어의 IP 범위를 찾으려면 32에서 접두어 8을 빼십시오. 결과 24는 2의 지수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IP 범위는 “2에서 24로”즉 16777216 IP.
따라서 “10.0.0.0/8″은 “10.0.0.0”에서 “10.255.255.255”까지의 IP 블록을 나타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제공되는 모든 IP 범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정박사코딩교실]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IP Address 부족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만들었다.
- IPv6 보다는 IPv4가 더 다양한 옵션 설정이 가능하다.
- 주소 유형은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3가지이다.
- Broadcasting 기능을 제공한다.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모든 단말에 주소를 부여하기에 32bit로는 부족해짐에 따라 IP의 새로운 버전인 버전 6에서는 주소 길이를 128bit로 늘렸다.]
[해설작성자 : 해설]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IP Address 중 Class가 다른 주소는?
- 191.234.149.32
- 198.236.115.33
- 222.236.138.34
- 195.236.126.35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83%
<문제 해설>
A class = 0~127.x.x.x , B class = 128~191.x.x.x , C class = 192~223.x.x.x ,
D class = 224~239.x.x.x , E class = 240~255.x.x.x
[해설작성자 : 이미알고있었으]
사설 ip 대역
A 클래스 : 10.0.0.0 ~ 10.255.255.255.
B 클래스 : 172.16.0.0 ~ 172.31.255.255.
C 클래스 : 192.168.0.0 ~ 192.168.255.255.
[해설작성자 : 정박사코딩교실]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IEEE 802.11 WLAN(무선랜) 접속을 위한 NIC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중 접속 프로토콜은?
- ALOHA
- CDMA
- CSMA/CD
- CSMA/CA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68%
<문제 해설>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반송파 감지 다중 엑세스 / 충돌 회피
ㅇ 유선 LAN 에서는 프레임 충돌 검출을 전송매체 상의 전위 변화로 쉽게 알 수 있으나,
ㅇ 무선 LAN 에서는 공기 중 전송매체이어서 충돌 감지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ㅇ 전송 전에 캐리어 감지를 해 보고 일정 시간 기다리며,
ㅇ 사전에 가능한 한 충돌을 회피(Collision Avoidance,CA)하는 무선전송 다원접속 방식
[해설작성자 : 정박사코딩교실]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IP 데이터그램 헤더구조의 Field Name으로 옳지 않은 것은?
- Destination IP Address
- Source IP Address
- Port Number
- TTL(Time to Live)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헤더 필드(20bytes)
Version (4bit), Header Length(4bit),TOS(8bit),Total length(bit) ,
Identification(6bit),Flag(3bit),Flag offset(13bit),TTL(8bit),
Destination IP address(32bit),Source IP address(32),
[해설작성자 : 귀찮아]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PCM 변조 방식의 변조과정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표본화-양자화-압축-부호화
- 표본화-압축-양자화-부호화
- 표본화-부호화-양자화-압축
- 표본화-양자화-부호화-압축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67%
<문제 해설>
PCM 변조 방식 :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
표압양부복으로 외우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pcm 변조 과정은 표본화 -양자화 – 부호화 -압축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성윤]
[추가 오류 신고]
저도 표본화-양자화-부호화-압축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험생]
[추가 오류 신고]
표본화-양자화-부호화-압축 으로 알고있습니다.. 뭐지?
[해설작성자 : ErroR]
[오류신고 반론]
PCM 변조 압축은 양자화 이전에 하는게맞는거같네요
[해설작성자 : 백성이]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인접한 개방 시스템 사이의 확실한 데이터 전송 및 전송 에러제어 기능을 갖고 접속된 기기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고, 신뢰도가 낮은 전송로를 신뢰도가 높은 전송로로 바꾸는데 사용되는 계층은?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물리 계층-물리적 매체를 통한 전송
네트워크 계층-패킷을 목적지 까지 전송
전송 계층-시스템 종단간 오류”수정”, 흐름제어
데이터링크 계층-오류”제어”, 프레임 동기 링크효율 상승을 기반으로 오류없이 데이터 전송
[해설작성자 : 히히호후후하]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다음 내용이 나타내는 매체 방식은?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Token Passing
- Demand Priority
- CSMA/CA
- CSMA/CD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71%
<문제 해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반송파 감지 다중 엑세스 / 충돌 검출
3과목 : NOS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SOA 레코드의 설정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주 서버 : 주 영역 서버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다.
- 책임자 :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 최소 TTL : 각 레코드의 기본 Cache 시간을 지정한다.
- 새로 고침 간격 : 주 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통신이 두절되었을 때 다시 통신할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76%
<문제 해설>
SOA record (start of authority record) ; SOA 레코드
SOA 레코드는 DNS 구역 내에 저장된 정보로서, 그 구역과 다른 DNS 레코드 구역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DNS 구역은 개별 DNS 서버가 관장하고 있는 도메인의 일부로서, 각 구역은 하나의 SOA 레코드를 포함한다. SOA 레코드는 IETF RFC 1035, “도메인 이름의 구현 및 규격”이라는 문건에 정의되어 있다.
SOA 레코드는 구역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이름 정보, 구역의 관리자, 데이터 파일의 현재 버전, 2차 네임서버가 갱신된 내용을 점검하기 전에 기다려야 하는 시간, 구역 전달에 실패한 2차 네임서버가 재시도를 하기 전에 기다려야 할 시간, 2차 네임서버가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소멸시키기 전까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 자원 레코드에 대한 TTL 파일의 기본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해설작성자 : 정박사코딩교실]
- 책임자의 주소 및 전화번호 -> 책임자의 이메일 주소
[해설작성자 : 모코인]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DNS 레코드 중 IP Address를 도메인 네임으로 역매핑하는 레코드는?
- SOA
- A
- PTR
- CNAME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7%
<문제 해설>
-A: ip 주소알려줌,도메인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할때 사용,ipv4매핑
-CNAME: 도메인 별칭
-MX : 메일,라우팅,SMTP
-NS : 서버 이름
-SOA : 서버이름,도메인 관리자 메일,일련번호 등 DNS 영역에 대한 핵심 정보 지정
-PTR : 역방향 도메인
[해설작성자 : 망했다]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Linux에서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는?
- chage
- chgrp
- chmod
- usermod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chgrp (파일/디렉터리의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 chmod (파일/디렉터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 usermod (사용자의 정보를 수정하는 시스템 관리 명령어)
[해설작성자 : 힘 좀 내봐]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Hyper-V에서 지원하는 가상 네트워크의 구성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외부(External)네트워크
- 내부(Internal)네트워크
- 개인(Private)네트워크
- 공유(Share)네트워크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60%
<문제 해설>
hyper-v 연결 형식에 외부용, 내부용, 개인가상컴퓨터네트워크로 나와있음. 그래서 공유는 아님!
[해설작성자 : 사이엘]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파일 암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NTFS 파일 시스템만 암호화가 가능하다.
- 암호화된 파일은 한 사람만 사용이 가능하다.
- 일반 백업 절차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하면 복구 시에 복호화 된다.
- 폴더를 암호화 했을 때, 폴더 내 생성된 모든 파일은 그 시점에 암호화 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후 복구하게되면 암호화가 풀리면…. 다털리죠
[해설작성자 : 해킹맨]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Linux에서 ′ls -al′의 결과 맨 앞에 나오는 항목이 파일 혹은 디렉터리의 권한을 나타내준다. 즉, [파일타입] [소유자 권한] [그룹 권한] [그 외의 유저에 대한 권한]을 표시한다. 만약 [파일타입]부분에 ′-′표시가 되어 있다면 이것의 의미는?
-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특수 파일
- 디렉터리
- 일반 파일
- 심볼릭/하드링크 파일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일반적인파일 텍스트나 바이너리파일 등 보편적으로 쓰이는 파일)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2019년02월17일 기출문제
- Active Directory에서 트러스트 내의 도메인들에 포함된 개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통합 저장소에 해당하는 것은?
- 글로벌 카탈로그
- 트러스트
- 읽기 전용 도메인 컨트롤러
- DNS 서버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59%
<문제 해설>
Global Catalog: 트리나 포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모든 AD의 정보 저장소 역할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1과목 : TCP/IP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IPv4와 비교하였을 때, IPv6 주소체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64비트 주소체계
- 향상된 서비스품질 지원
- 보안기능의 강화
- 자동 주소설정 기능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88%
<문제 해설>
IPv4는 32비트, IPv6는 128비트입니다.
현재 문제에서는 IPv6를 물어보기때문에 1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제 시험 가답안 합격이요~]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다음 중 사설 IP주소로 옳지 않은 것은?
- 10.100.12.5
- 128.52.10.6
- 172.25.30.5
- 192.168.200.128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설 IP 대역
A 클래스 : 10.0.0.0 ~ 10.255.255.255.
B 클래스 : 172.16.0.0 ~ 172.31.255.255.
C 클래스 : 192.168.0.0 ~ 192.168.255.255.
[해설작성자 : 하마]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IEEE 802 프로토콜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 IEEE 802.3 : 토큰 버스
- IEEE 802.4 : 토큰 링
- IEEE 802.11 : 무선 LAN
- IEEE 802.5 : CSMA/CD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83%
<문제 해설>
IEEE 802.3 : CSMA/CD , Ethernet
IEEE 802.4 : 토큰 버스
IEEE 802.5 : 토큰 링
IEEE 802.11 : CSMA/CA 입니다.
외우는 팁을 드리자면
802.4의 토큰 버스는 ‘버스에 타면 죽을 수도 있다’라는 죽을 사를 생각하십시요.
[해설작성자 : 어제 시험]
IEEE 802.3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Ethernet
IEEE 802.4 |토큰 버스 (Token Bus)
IEEE 802.11|무선 네트워크 (Wireless Network)
IEEE 802.5 |토큰 링(Token Ring)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 정보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개체가 보낸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한 애크널러지먼트(ACK)를 특정시간 동안 받지 못하면 재전송하는 기능은?
- Flow Control
- Error Control
- Sequence Control
- Connection Control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오류제어(Error Control) : 전송 도중에 발생한 부호 오류를 검출하고 정확한 정보를 재현(정보의 신뢰성을 부여)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디지타이징(Digitizing)
-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하나의 기기와 서비스에 모든 정보통신기술을 묶은 새로운 융합 상품 : 2번
언제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가능한것 : 4번 (유비쿼터스)
4번과 혼동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전지전능한 머머장 박강락님]
3과목 : NOS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 설치된 DNS에서 지원하는 레코드 형식 중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의 레코드 형식은?
- CNAME
- MX
- A
- PTR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76%
<문제 해설>
Cname :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 되는 가상 도메인의 이름의 레코드형식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의 권한이 ′-rwxr-x–x′ 이다. 이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소유자는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갖는다.
- 소유자와 같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 이 파일의 모드는 ′751′ 이다.
-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먼저 편하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문제에 제공된 권한을 4개로 나눠봅시다.
나눠보면 ” – / r w x / r – x / – – x ” 입니다.
먼저 맨 앞에 있는 -를 봅시다. 이 공간은 파일의 종류를 의미하는것으로, -는 일반파일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제부터 중요합니다. 먼저 상식적으로 알아야 7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r의 뜻은 read라는 뜻으로 ‘읽기’를 뜻하며 숫자로는 4를 의미합니다.
w의 뜻은 write라는 뜻으로 ‘쓰기’를 뜻하며 숫자로는 2를 의미합니다.
x의 뜻은 execution이라는 뜻으로 ‘실행’를 뜻하며 숫자로는 1를 의미합니다.
-의 뜻은 권한이 없다는 뜻으로 0를 의미합니다. (주의 : 맨 앞에 있는 -와 별도입니다. 주의하세요)
그리고 다음으로 알아야할건 공간입니다. – / r w x / r w x / r w x 로 나눠봅시다.
첫번째 rwx의 공간은 소유자(User)의 권한입니다.
두번째 rwx의 공간은 그룹(Group)의 권한입니다.
세번째 rwx의 공간은 다른 사용자(Other)의 권한입니다.
자 이제 문제를 봅시다.
– / r w x / r – x / – – x 의 권한이 있습니다.
앞의 -는 일반 파일을 의미합니다.
소유자의 권한은 r, w, x로 읽기권한, 쓰기권한, 실행권한 등 모든 권한을 부여하며, 숫자로는 4 + 2 + 1이므로 7입니다.
그룹의 권한은 r, x로 읽기권한, 실행권한을 부여하며, 숫자로는 4 + 1이므로 5입니다.
다른 사용자의 권한은 x로 실행권한을 부여하며, 숫자로는 1입니다.
이제 4지선다를 봅시다.
1번 : 소유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맞습니다.
2번 : 소유자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을 갖는다. 맞습니다. 다른 사용자에게만 실행을 부여하는거 맞습니다.
3번 : 이 파일의 모드는 ‘751’이다. 맞죠? 소유자 권한 7, 그룹 권한 5, 실행 권한 1 맞습니다.
4번 :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틀린 답입니다. 그룹에게는 읽기와 실행을 부여했기때문에 실행이 아닌 읽기도 같이 부여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모두 화이팅하세요~
[해설작성자 : 소유자의 권한은 r, w, x로 읽기권한, 쓰기권한, 실행권한 등 모든 권한을 부여하며, 숫자로는 4 + 2 + 1이므로 7입니다. ]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다음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Linux 시스템 디렉터리는 무엇인가?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home
- /usr
- /var
- /tmp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51%
<문제 해설>
/var 메일,로그관련 데이터저장
[해설작성자 : 앱준클라스]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 DHCP 서버의 주요 역할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 동적 콘텐츠의 HTTP 압축을 구성하는 인프라를 제공한다.
- TCP/IP 네트워크에 대한 이름을 확인한다.
- IP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IP 자동 할당한다.
- 사설 IP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71%
<문제 해설>
DHCP는 한 그룹의 모든 IP주소를 해당 서버에 저장해 두고 이용자의 컴퓨터가 요청할 때마다 IP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자동으로 IP를 할당받아 사용하는 것들을 모두 DHCP서버로부터 IP를 배정받아 사용하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칼들은처키]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다음 그림은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IIS의 기본문서 화면이다. 현재 접속할 페이지에 ′default.aspx′, ′iisstart.htm′, ′index.html′, ′index.htm′ 파일이 있다면 접속하였을 때 어떤 파일을 불러오는가?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Default.aspx
- iisstart.htm
- index.html
- index.htm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55%
<문제 해설>
index는 첫 번째 화면이라는 뜻
htm 과 html은 같은 파일이지만 다른 확장자
서버에서는 htm -> html -> php 순으로 우선적 인식.
[해설작성자 : 짧은하루]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2019년05월19일 기출문제
- NIC(Network Interface Card)와 관련한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은?
- 네트워크 내에서 NIC는 유일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
-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NIC를 교체하는 경우에 이전에 사용하던 MAC 주소를 할당해야 한다.
- Ethernet의 경우 MAC 주소는 4Byte로 구성된다.
- NIC는 OSI 참조모델에서 3계층에 해당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유일한 MAC 주소를 가진다. (MAC 주소는 무조건 하나이다.)
1과목 : TCP/IP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IPv4 Class 중에서 멀티캐스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 B Class
- C Class
- D Class
- E Class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77%
<문제 해설>
A Class = 주로국가나 대형네트워크
B Class = 중대형 네트워크
C Class = 소형네트워크
D Class = IP멀티캐스트기능을 수행하기위한 주소
E Class = IP시작비트 “1111” / 실험용으로 예약된 주소범위
[해설작성자 : song]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ICMP 메시지의 타입번호와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타입 0 : Echo Request, 에코 요청
- 타입 3 : Destination Unreachable, 목적지 도달 불가
- 타입 5 : Redirect, 경로 재지정
- 타입 11 : Time Exceeded, 시간 초과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타입 0 : Echo Reply, 에코 응답
타입 3 : Destination Unreachable, 목적지 도달 불가
타입 4 : Source Quench, 발신 억제
타입 5 : Redirect, 경로 재지정
타입 11 : Time Exceeded, 시간 초과
타입 12 : Parameter Problem, 매개변수 문제
타입 8 : Echo Request, 에코 요청
[해설작성자 : aughp]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OSI 7 Layer 중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 형식을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및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 세션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프리젠테이션 계층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 형식을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및 복호화, 압축, 인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해설작성자 : 칼들은처키]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IEEE 표준안 중 CSMA/CA에 해당하는 표준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802.1
- 802.2
- 802.3
- 802.11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73%
<문제 해설>
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HTL) 및 MAC 브리지
802.2 : 논리 링크 제어(LLC : Logical Link Control)
802.3 :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 Ethernet
[해설작성자 : GGO]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4번이라고 뜨는데 CSMA/CD에 해당하는 표준은 3번 802.3 아닌가요 ?
해설도 802.3 으로 설명 하고 있는거 같은데 정답은 4번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확인 바랍니다.
[오류신고 반론]
CSMA/CD 가 아니라 CSMA/CA로 D가 아닌 A 입니다 문제를 잘 보세요
[해설작성자 : ㅇ]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전송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 프레임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방식은?
- Adaptive ARQ
- Go back-N ARQ
- Selective-Repeat ARQ
- Stop and Wait ARQ
입력한 답 : 3
정답 : [1]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Adaptive ARQ 동적 변경
- Go back-N ARQ 에러 발생 후 모든 데이터 재전송
- Selective-Repeat ARQ 에러가 발생한 블록만 선택하여 재전송
- Stop and Wait ARQ 블록 전송 후 응답을 기다리는 방법
[해설작성자 : 별아]
3과목 : NOS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Hyper-V의 스냅숏(Snapsho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스냅숏은 가상컴퓨터의 특정 시점이다.
- 스냅숏의 내용은 가상디스크, 메모리, 프로세스,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 스냅숏은 가상 컴퓨터를 복사하는 기술이다.
- 하나의 가상컴퓨터에 여러 개의 스냅숏을 만들 수 있다.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스냅숏 – 가상컴퓨터의 특정 시점을 저장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낼모레수험자]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Linux에서 프로세스와 관련된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kill –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
- nice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
- pstree – 프로세스를 트리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어
- top –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명령어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66%
<문제 해설>
top 명령어는 실시간 cpu 점유율을 높은 순서로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해설작성자 : 231]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이벤트 뷰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이 이벤트에 작업 연결′은 이벤트 발생 시 특정 작업이 일어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 ′현재 로그 필터링′을 통해 특정 이벤트 로그만을 골라 볼 수 있다.
- 사용자 지정 보기를 XML로도 작성할 수 있다.
- ′구독′을 통해 관리자는 로컬 시스템의 이벤트에 대한 주기적인 이메일 보고서를 받을 수 있다.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구독을 통해 관리자는 로컬 시스템의 이벤트는 볼 수 있지만 주기적인 이메일 보고서는 받을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제발 합격시켜주세요ㅠ]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2019년08월25일 기출문제
- 100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트위스트 페어의 간편성과 동축 케이블이 가진 넓은 대역폭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으며 중심부는 코어와 클래드로 구성되어 있는 전송회선은?
- BNC 케이블
- 광섬유 케이블
- 전화선
- 100Base-T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광섬유 케이블의 특징은 대용량 전송 및 빠른 전송 비전도성 저손실 고품질 [원통모양으로 core, clad, jacket, coating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칼들은처키]
1과목 : TCP/IP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UDP 패킷의 헤더에 속하지 않는 것은?
- Source Port
- Destination Port
- Window
- Checksum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80%
<문제 해설>
UDP 패킷 헤더에는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Length, Checksum이 있다
[해설작성자 : ㅎ]
UDP패킷의 헤더는 Source Port/Destination Port/UDP Length/UDP Checksum 각 16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
Source Port : 송신 포트 번호
Destination Port : 수신 포트 번호
Length : 헤더와 데이터를 합친 길이
Checksum : 헤더와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여 체크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255.255.255.224’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는?
- 2개
- 6개
- 14개
- 30개
입력한 답 : 2
정답 : [4]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해당 서브넷을 2진수로 변경하면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networkID = 1로 표현, HostID = 0으로 표현함으로 뒤에 00000 10진수계산으로 변경하면 16+8+4+2+1 = 32개
IPv4의 최대갯수 256중 1번은 Gateway, 256번은 Broadcast 사용함으로 254-224 = 32 -2 = 30개
[해설작성자 : 데이터]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IP Address ′11101011.10001111.11111100.11001111′ 가 속한 Class는?
- A Class
- B Class
- C Class
- D Class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1101011=128+64+32+0+8+0+2+1=235.
c클래스는 191~223인데 235이므로 D클래스
[해설작성자 : 가빈]
쉽게 2진수로 표현하면 아래클래스들은 아래비트로 시작한다.
A클래스 = 0 10진수표현= 0~127
B클래스 = 10 10진수표현= 128~191
C클래스 = 110 10진수표현= 192~223
D클래스 = 1110 10진수표현= 224~255
[해설작성자 : 데이터]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IP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IP 프로토콜은 프로세서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 네트워크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로 실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IP 프로토콜의 오류제어는 세그먼트의 오류감지기능과 오류정정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 흐름제어로는 주로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이 쓰인다.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54%
<문제 해설>
osi7계층 중 3계층인 네트워크게층에 속한다. 단위는 패킷이며 전달하는 역할을 함
[해설작성자 : 가빈]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OSI 7 Layer에서 암호/복호, 인증, 압축 등의 기능이 수행되는 계층은?
- Transport Layer
- Datalink Layer
- Presentation Layer
- Application Layer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암호,복호,인증,압축 등은 다 표현하는 것이며 표현계층은 presentation layer이다.
[해설작성자 : 가빈]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OSI 7 계층 모델 중 트랜스포트 계층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인접한 호스트들 간의 에러제어 및 흐름제어 기능이 있다.
- 라우팅 및 Addressing 기능을 제공한다.
-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장치 간 전송을 담당한다.
- 네트워크계층에서 제공하는 QoS(Quality of Service)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를 판단한다.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59%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정보교환 네트워크에서 이용자의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나누어 각각에 송수신 주소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 회선교환 방식
- 패킷교환 방식
- 메시지교환 방식
- 비동기 방식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80%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
3과목 : NOS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시작]→[관리도구]→[로컬 보안 정책]′에 나오는 보안 설정 항목이 아닌 것은?
- 계정 정책
- 로컬 정책
- 공개키 정책
- 대칭키 정책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70%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관리용 원격 데스크톱을 통해 최대 5명까지 동시접속이 가능하다.
- 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서버로 구성해 운영하려면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 네트워크 레벨 인증 시 접속하는 PC는 최소 Windows XP 서비스팩2 이상의 운영체제이어야 한다.
- 인터넷을 통해서도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를 받으려면 원격 데스크톱 게이트웨이를 설치해야 한다.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원격 데스크톱은 1 : 1 접속이 원칙입니다.
[해설작성자 : 칼들은처키]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DHCP 구성에 대해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DHCP에서 새범위 구성시 임대 기간은 일, 시간, 분, 초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 Windows Server 2008에서 DHCP에서 새범위 구성시 더 이상 WINS 서버를 구성하지 않는다.
- 새 예약 구성시 지원되는 유형은 BOOTP없이 DHCP만 가능하다.
- DHCP 서버에서 주소를 분배할 때, 적용할 지연시간은 ms 단위로 지정한다.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53%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다음 중 Linux의 명령어 해석기는?
- Shell
- Kernel
- Utility Program
- Hierarchical File System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가장 바깥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전달함
[추가 해설]
지구로 표현하면 커널은 핵, 쉘은 맨틀입니다. 사용자는 땅에서 있으니 가장가까운건 쉘이겠죠?
리눅스에서 인간의 고급언어를 컴퓨터의 저급언어로 변형해주는 기능은 쉘입니다
2019년11월10일 기출문제
- 컴퓨터가 부팅 될 수 있도록 Linux 운영체제의 핵이 되는 커널을 주 기억 장소로 상주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트 로더는?
- GRUB
- MBR
- CMOS
- SWAP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부트로더는 GRUB 입니다.
MBR은 마스터 부트 레코드로 하드 디스크의 첫 섹터를 말하며 하드 디스크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습니다.
CMOS는 BIOS 설정시 읽어오는 내용입니다.
SWAP은 메모리 부족시 실제 하드를 RAM처럼 사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해설작성자 : 조이]
1과목 : TCP/IP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IPv6의 주소 표기법으로 올바른 것은?
- 192.168.1.30
- 3ffe:1900:4545:0003:0200:f8ff:ffff:1105
- 00:A0:C3:4B:21:33
- 0000:002A:0080:c703:3c75
입력한 답 : 3
정답 : [2]
정답률 : 82%
<문제 해설>
IPv6의 주소 구성은 128bit의 주소를 16bit, 8개로 나누어 (:)으로 구분하고 16진수로 표기한다.
[해설작성자 : 85년생 최수빈]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네트워크의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netstat′ 명령을 실행 했을 때 제공하지 않는 정보는?
- 커널의 경로 배정표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
- 인터페이스의 구성 정보
- IP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방문하는 게이트웨이의 순서 정보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번 tracert에 해당하는 내용 경로 추척
[해설작성자 : DS]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B Class 네트워크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할 때, 가장 많은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 값은?
- 255.255.192.0
- 255.255.224.0
- 255.255.240.0
- 255.255.248.0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55%
<문제 해설>
B class 서브넷마스크 기본값은 255.255.0.0 이며 세번째 0의 숫자를 수정하여 서브넷팅한다.
6개의 서브넷마스크가 필요하므로 2진수단위로 개수가 늘어나 256를 8개로 나눠야하며 32개의 호스트사용이 가능한 서브넷마스크를 사용하여 한다.
256-32 = 224 이므로 255.255.224.0 이 서브넷마스크의 값이 된다.
[해설작성자 : ㅂㅎㅇ]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데이터 전송 시 전송매체를 통한 신호의 전달속도가 주파수의 가변적 속도에 따라 왜곡되는 현상은?
- 감쇠 현상
- 지연 왜곡
- 누화 잡음
- 상호 변조 잡음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감쇠현상: 전송신호가 전송매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섬 심호세기가 약해짐
해결방법: 아날로그 전송시 증폭기 사용, 디지털 전송시 리피터 설치
2.지연왜곡 :전송매체를 통한 신호전달이 주파수에 따라 그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유발되는 신호손상
3.누화잡음: 상호 인접한 전송매체의 전자기적 상호 유도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
4.상호변조잡음 :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똑같은 전송 매체를 공유할때 주파수들의 신호의 차이로 발생
[해설작성자 : 노노보]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OSI 7 계층 중 비트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전환하며, 순환 잉여 검사(CRC)를 수행하는 계층은?
- 트랜스포트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적 계층
입력한 답 : 1
정답 : [3]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순환 잉여 검사(CRC – cyclical redundancy check)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전송오류제어, 흐름제어를 한다.
[해설작성자 : DS]
3과목 : NOS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이벤트 뷰어에서 로그온, 파일, 관리자가 사용한 감사 이벤트 등을 포함해서 모든 감사된 이벤트를 보여주는 로그는?
- 응용 프로그램 로그
- 보안 로그
- 설치 로그
- 시스템 로그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64%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DNS Server 역할에서 지원하는 레코드의 형식과 기능의 설명이다. 이 중 잘못 연결된 것은?
- A – 정규화 된 도메인 이름을 32비트 IPv4 주소와 연결
- AAAA – 정규화 된 도메인 이름을 128비트 IPv6 주소와 연결
- CNAME –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
- NS – 주어진 사서함에 도달 할 수 있는 라우팅 정보를 제공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58%
<문제 해설>
NS(name servers) : 도메인 서버 목록을 지정하는 레코드이다. DNS 서버를 운영하는 호스트 이름을 매핑해준다.
‘주어진 사서함에 도달 할 수 있는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MX(Mail Exchange Record)이다.
MX는 메일 서버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메일 서버 구축 시 필수로 하는 레코드이다.
[해설작성자 : 읒지]
4과목 : 네트워크 운용기기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RAID 시스템 중 한 드라이브에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에 복사해 놓는 방법으로 복구 능력을 제공하며, ′Mirroring′으로 불리는 것은?
- RAID 0
- RAID 1
- RAID 3
- RAID 4
입력한 답 : 1
정답 : [2]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핵심키워드만 뽑아 얘기한다면
RAID0은 스트립O 중복X
RAID1은 MIRRORING
RAID3는 DISK에 Parity저장
RAID4는 3과 유사하지만 Parity를 블록단위로 저장
RAID5는 병목현상을 줄여줌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어요]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100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트위스트 페어의 간편성과 동축 케이블이 가진 넓은 대역폭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으며 중심부는 코어와 클래드로 구성되어 있는 전송회선은?
- BNC 케이블
- 광섬유 케이블
- 전화선
- 100Base-T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00Mbps 이상이다. 100Mbps이라고 한적은 없다. 또한 코어와 클래드로 구성된 전송회선은 광케이블.
[해설작성자 : 숫자 100만 보지 마세요]
2020년02월16일 기출문제
- 다음 중 NAC(Network Access Control)의 주요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네트워크의 모든 IP 기반 장치 접근 제어
- PC 및 네트워크 장치 통제(무결성 체크)
- 외부 유저 역할 기반의 접근 제어
- 유해 트래픽 탐지 및 차단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방화벽 – 외부에서 내부로의 접근을 통제
NAC – 내부 네트워크를 통제,평가,점검
[해설작성자 : 올합격씨]
1) 안전검사(검역기능)
– Endpoint의 백신보호레벨 및 시스템 패치레벨, 기업이 정해놓은 정책이 맞는지를 검사
2) 인증관리
– Endpoint의 사용자(ID) 네트워크 접근에 대한 인증을 수행함
3) 권한관리
– Endpoint의 사용자(ID) 기준 물리적인 접근을 제어
4) 모니터링
– 접속후에도 접속단말의 행위 분석 및 필요시 격리, 치료
– 유해 트래픽 탐지 및 차단, 해킹 행위 차단, 완벽한 증거 수집
5) 장치 통제
– 백신 관리, 패치 관리, 자산 관리(비인가 시스템 자동 검출)
1과목 : TCP/IP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 데이터가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패킷이 DNS서버 존으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 패킷이 DNS서버 네임서버 레코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이다.
입력한 답 : 4
정답 : [2]
정답률 : 77%
<문제 해설>
DNS 레코드의 컨텍스트에서 TTL은 DNS 캐시 서버가 신뢰할 수 있는 DNS 서버에 연결하여 레코드의 새 복사본을 가져 오기 전에 DNS 레코드를 제공 할 수 있는 기간을 결정하는 숫자 값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건 외워야돼]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RIP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술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RIP 메시지는 전송계층의 UDP 데이터그램에 의해 운반된다.
- 각 라우터는 이웃 라우터들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배정표를 갱신한다.
-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
- 네트워크의 상황 변화에 즉시 대처하지 못한다.
입력한 답 : 4
정답 : [3]
정답률 : 61%
<문제 해설>
IGP 라우팅 프로토콜 (RIP, IGRP, OSPF, IS-IS) 중
멀티캐스팅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OSPF 이다.
[해설작성자 : R.I.P]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보기의 프로토콜 중에서 지문에 제시된 내용과 같은 일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은?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DHCP
- IP
- RIP
- ARP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하드웨어의 정확한 번지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ARP라고 부릅니다.
[해설작성자 : 칼들은처키]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100BASE-T라고도 불리는 이더넷의 고속 버전으로서 100 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근거리통신망의 표준은?
- Ethernet
- Gigabit Ethernet
- 10Giga Ethernet
- Fast Ethernet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75%
<문제 해설>
Gigabit Ethernet : 1Gbps -> 1000BASE-**
10Gigabit Ethernet : 10Gbps -> 10GBASE-**
Fast Ethernet : 10Mbps~100Mbps -> 100BASE-**
[해설작성자 : 기간토싸우루수]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송 방식은?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Token Ring
- Token Bus
- CSMA/CD
- Slotted Ring
입력한 답 : 2
정답 : [3]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SMA/CD IEEE 802.3에서 규격 정의가 되어 있다. 충돌이 발생하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방식이며(나머지는 위의 설명과 같다)
[해설작성자 : 칼들은처키]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다음 지문의 ( A )에 알맞은 용어는?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가능합니다.(한번더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변경 됩니다).
- Internet of Things
- Mobile Cloud Computing
- Big Data
- RFID
입력한 답 : 4
정답 : [1]
정답률 : 67%
<문제 해설>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인터넷 (위의 설명과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칼들은처키]
3과목 : NOS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되며, Linux 로더를 의미하는 것은?
- MBR
- RAS
- NetBEUI
- GRUB
입력한 답 : 1
정답 : [4]
정답률 : 59%
<문제 해설>
– GRUB (grand unified bootloader)
[해설작성자 : 셤합격기원]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Linux 명령어 중에 init(초기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재부팅할 경우 하는 옵션은 무엇인가?
- init 0
- init 1
- init 5
- init 6
입력한 답 : 3
정답 : [4]
정답률 : 59%
<문제 해설>
init 0 = 시스템 종료모드
init 1 = 단일 사용자 모드
init 5 = 다중 사용자 그래픽모드 (GUI 모드)
init 6 = 시스템 재부팅 모드
[해설작성자 : 치킨드래곤]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Apache 웹서버 구성시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Listen : 접속가능한 출발지 IP주소를 지정한다.
- ServerAdmin :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Apache 서버가 보낼 E-Mail 주소를 입력한다.
- DocumentRoot : Apache 서버가 인식할 데이터들이 저장될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 DirectoryIndex : 클라이언트가 웹서버 접속 시 초기 화면으로 보여줄 파일명을 지정한다.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44%
<문제 해설>
Listen는 포트 지정
[해설작성자 : Leegiseong]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Windows Server 2008 R2의 DNS서버 설정에서 호스트이름을 IP주소로 해석해 주는 것은?
- 정방향 조회
- 역방향 조회
- 조건부 전달
- 보조 영역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방향 조회는 도메인 이름을 가지고 IP주소로 바꿔주고,
역방향 조회는 반대로 IP주소를 가지고 도메인 이름으로 바꿔줌.
[해설작성자 : 계룡이]
2020년05월17일 기출문제
- Linux 시스템 부팅과 함께 자동으로 마운트되어야 할 항목과 옵션이 정의되어 있는 파일은?
- /etc/fstab
- /usr/local
- /mount/cdrom
- /home/public_html
입력한 답 : 2
정답 : [1]
정답률 : 55%
해설이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해설을 알고 계시다면 오른쪽 해설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해설을 작성하여 다른분들과 함께 해설을 나누었으면 합니다.
로그인 후 오류 신고 및 해설 작성 하시면 포인트가 제공됩니다.
[포인트 모으기 및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