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tching – SVI & Routed Port Switching 2014. 9. 29. 16:35https://things.blog.me/220136176277번역하기L3 스위칭 – 일반적으로 스위치에서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 네트워크의 추가,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보안 강화를 위해 VLAN을 사용한다 – 서로다른 VLAN끼리의 통신을 위해서는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라우터에 각각의 VLAN의 게이트웨이를 서브인터페이스로 구성한다. – L3 스위치는 라우터의 역할(게이트웨이 부여)을 할 수 있는 스위치를 말한다. ■ L2스위치- 라우팅 불가능- VLAN1에만 원격제어를 위한 IP 할당 가능- L2 link port로만 동작 (프레임만 전송)- 여러 개의 VLAN 설정시 라우터 필요 ■ L3스위치 – IP를 설정하여 라우팅 가능- SVI를 이용하여 모든 Vlan에 IP 설정 가능- L2, L3 link port 둘다 동작 가능 (패킷, 프레임 전송 가능)- 여러 개의 VLAN 설정시 라우터 필요 없음 (각각의 VLAN에 게이트웨이 역활을 함 ■ L3스위치의 VLAN 통신 방법 1) SVI(switch virtual interface) – 각각의 VLAN에 게이트웨이를 설정 – VLAN간 라우팅에 사용되는 멀티레이어 3계층 인터페이스 Switch(config)# ip routing routing을 on 시킨다 Switch(config)# interface vlan 2 VLAN 2 에 들어가서 Switch(config-if)# ip address 192.169.10.1 255.255.255.0 192.169.10.1의 게이트웨이 설정 2) routed port – 포트에 ip를 설정, L3 스위치 사이의 트렁크 포트 연결에 사용 – 서브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으며, 점대점 링크용으로 사용됨 – 개별 VLAN과 결합되지 않음 Switch(config)# ip routing routing을 on 시킨다 Switch(config)# interface fa0/1 fa0/1 포트에 들어가서 Switch(config-if)# no switchport 스위치포트를 OFF하여 IP 포트로 쓰겠다. Switch(config-if)# ip address 192.169.20.1 255.255.255.0 192.169.20.1의 게이트웨이 설정 [출처] Switching – SVI & Routed Port|작성자 HOONY |